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강신호)와 산업자원부는 「제3차 Bio Executive Forum」을 통해
세포치료제 및 맞춤의약 등으로 오는 2015년에는 바이오산업 세계 7위, 수출 250억불 달성이 가능한다는 연구보고가 나왔다.

이에 따라 이의 실현을 위해 산업계와 공동으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이행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가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전경련과 산업자원부는 14일 공동으로「제3차 Bio Executive Forum」을 열고 이 같이 지적했다.

이날 포럼에서 전경련 조건호 부회장은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우리 산업의 올바른 발전방향을 모색코자 산업자원부와 전경련이 "2015년 산업발전전략"을 수립하게 됐다"고 말하고 "이번에 수립된 발전전략은 단순한 보고서 작업에 그치지 않고 바이오 산업계의 지속적인 의견 수렴과 공감대 형성을 토대로 바이오산업의 비전과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산업계와 정부가 2015년까지 실행해 나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5년 세포치료 및 맞춤의학 시대 도래

서울대 강성근 교수는 현재까지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통해 병의 유형, 성별, 연령에 무관한 환자 맞춤형의 줄기세포를 개발하고, 줄기세포 개발에 사용되는 난자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등의 성과가 있었다고 말하고 특히 2013년에는 신경계, 당뇨, 심장/간 등의 모든 세포에 대한 세포치료가 가능하고, 2015년에는 개인의 유전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의학의 시대가 열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약개발 투자를 저해하는 환경 개선 시급

양흥준 LG생명과학 사장(「Bio Executive Forum」좌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국내 신약개발 프로젝트가 36개 기업, 115개 품목(제품출시 : 11개)에 이르고, 줄기세포와 임상시험 연구 등에서 세계적인 인정을 받는 등 국내 바이오산업의 역량이 한층 강화되고 있다고 진단하고 그러나, 국내 바이오 산업계의 영세성으로 R&D투자 여력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며, 정부 R&D투자 예산(BT분야: 6.5억불[04년]) 또한 미국(300억불 이상)의 2.2%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양 사장은 이어 향후 바이오산업의 차세대 성장 동력화를 위해서는 산업계는 R&D투자 확대를 통한 신약 파이프라인의 구축과 더불어 M&A 등을 통한 구조조정, 해외 전략적 제휴의 강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정부는 BT분야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동시에 신약 가격제한 등 신약개발 투자를 저해하는 환경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해외 전략적 제휴가 바이오 성패 좌우

Jeffrey Oh 미국 SMART Bioscience사 대표는 바이오업계 내에 ① 성공을 위해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고, ② 유사의약품(Me-too drug)은 위험이 적고, 개발도 쉬우며, ③ 바이오산업이 단지 IT산업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④ 성공을 위해서는 슈퍼스타급의 과학자가 필요하다는 통념에 대해 비판했다.

특히 자금력의 한계는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해 극복할 수 있고, 일부 슈퍼스타급 과학자보다는 R&D, 비즈니스, 기업공개, 마케팅, 법률상의 규제 등에 대한 기업 전략의 조화와 건전한 경영구조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고 강조하는 한편 유사의약품(me-too drug) 개발로 실패의 위험을 줄이려다가 기업 R&D가 "진부화"되는 위험에 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Jeffrey Oh 대표는 이어 국내 바이오 기업들은 현재 글로벌 제약기업(Big Pharma) 매출의 약 30%가 바이오텍(Biotech) 기업으로부터 라이센스한 신약들에서 이루어 질 정도로 전략적 제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와 함께 성공적인 전략적 제휴를 위해서는 글로벌 제약기업이 관심을 가질 만한 혁신적인 연구개발과 함께 연구개발 단계상의 위험-비용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