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산업통상자원부·미래창조과학부 등 4개 부처는 공동으로 미래 유망 의료기기의 개발과 사업화에 대한 내용을 담은 미래 전략을 발표했다. 
 
최근 기술융복합화에 따른 신개념 의료기기가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유망 기기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목소리가 높아져 왔다.  
 
이에 4개 정부 부처는 유망 의료기기의 개발․사업화 전략을 담은 ‘바이오 미래전략2(의료기기)’를 발표하고 태동기 분야에 대해 개발단계부터 인프라 지원까지 전주기에 걸친 대책 마련 및 각 부처 간 협업을 확대키로 했다. 
 
정부가 제시한 4가지 대책을 보면 우선 2020년까지 세계 7대 의료기기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태동기 유망기술에 대한 R&D 투자를 확대함으로써 2016년 이후 관련 사업 신규 과제의 30% 이상을 미래 유망분야에 투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ICT 융합 진단 및 치료기기, 생체대체 소재, 헬스케어 앱 등 미래 유망 분야에 대한 정부 투자가 확대된다.
 
이 같은 계획에 대해 정부는 단순히 투자 확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업화를 최우선으로 고려해 각 분야의 특성에 맞는 개발방식을 추진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병원에서 쓰이는 의료기기의 경우 임상경험을 활용하고 병원의 참여 도모를 위해 ‘병원의 의료기기 개발 자회사’를 통한 개발을 추진한다. 참여주체의 책임성 강화를 위해 민간 현금매칭 비율 및 연구인력 참여율 등을 상향하고 사업화시 병원의 역량을 적극 활용키로 했다.
 
이와 함께 혁신 제품의 조기 시장진출도 지원하기로 했다. 관련 예산을 163억 원(현 124억원)으로 상향시키는 한편 인허가 컨설팅 지원, 중개임상시험 지원센터 확대 등을 통해 조기 시장진입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또 국내외 판로개척을 통한 성장기반 마련애 초첨을 맞추기로 했다. 2020년까지 국산의료기기 점유율을 45%까지 확대하고 의료기기 수출기업수 1,000개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유효성 검증테스트, 학회 발표 지원 등을 확대하는 한편 국산 의료기기의 사용 현황․실태 등을 분석해 이용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러한 국내 활용 경험을 토대로 수출산업화 촉진을 본격화하고 정부 간 협력을 강화해 의료기기-의료서비스 패키지 수출을 지원키로 했다. 
 
아울러 의료기기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확충방안도 제시했다. 2020년까지 500억원 이상의 펀드 자금을 투입하고 특성화대학원도 6개로 확대하는 한편 지역별 기업 지원 인프라의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기업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