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 알레르기성 비염 - 대부분 집먼지 진드기가 원인
자료제공 :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김용복 교수

아침저녁으로 찬 기운이 돌기 시작하는 가을철은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에게는 달갑지 않은 계절이다. 코 막힘이 더 심해질 뿐만 아니라 코 간지러움, 콧물, 재채기 증상들도 같이 나타난다.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대부분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 ‘알레르겐’에 노출되지 않아도 먼지가 많은 곳에서나, 자극적 냄새를 맡거나, 날씨가 차가와 지거나 하는 경우에는 코 증상이 갑자기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가을은 비록 공기가 맑아서 대기 오염이 줄어든다고 해도 차가워진 기온으로 인해 대부분의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는 시기이다.. 또 갈대 등의 목초에 알레르기성 반응을 보이는 환자들에서는 다른 계절에 비해서 해당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이 훨씬 쉽기 때문에 코 알레르기 증상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는 재채기를 자주 하는 특징이 있다. 재채기뿐이 아니고 콧물이 자꾸 나오고, 때에 따라서는 목 쪽으로 코 분비물이 넘어가기도 하며, 코가 막혀서 입으로 숨을 쉬게 되기도 하고, 눈이나 입천장이 가려워서 긁어야 편하고, 또는 귀 주위가 가렵기도 한다. 어린이에서는 눈 주위가 약간 검은 느낌이 들고, 자꾸 코를 비벼대는 바람에 코 주위에 없던 주름이 생겨 있기도 하며, 코가 막힌다고 잠투정을 유난히 심하게 부리기도 한다. 이런 증상은 특정한 알레르겐에 대한 코의 과민 반응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이 없는 사람의 코는 특정 알레르겐을 적극적으로 방어하지 않아도 괜찮은 물질로 분류되지만,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코는 매우 해로운 물질이라고 인식하여 코가 할 수 있는 모든 방어반응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재채기,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그러면 어떤 사람은 알레르기 반응으로 고생을 하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을까? 아직 정확하게 규명되어 있지는 않지만 부모에서 알레르기성 비염이 있는 경우 자녀들에게 더 자주 발병하는 것으로 보아 일부 유전적 소질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기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알레르기성 질환이 더 많은 것으로 보아 만성적으로 코를 포함한 호흡기를 자극하는 경우에 여러 가지 자극에 지친 코가 너무 민감해 지는 것이 아닌가 하고 추정된다.

대부분의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는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 양성 반응을 보이며, 갈대 등 목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은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양성 반응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양성 반응이 없이 단독으로 목초에 대한 양성 반응만이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이런 사실은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가을에 코 알레르기 증상이 악화되는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치료라도 일년 내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집먼지 진드기를 조절하는 치료를 병행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는 진드기의 서식과 증식을 억제하는 환경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구체적 방법의 첫번째는 집먼지를 되도록 밖으로 배출하여야 하므로 창문을 활짝 열어 환기를 자주, 충분히 하는 것이다. 집안에 카펫이나 천으로 만든 두툼한 소파 등의 진드기가 살기에 좋은 환경을 없애고, 집안을 약간 서늘하게 해서 진드기의 번식을 막는 방법이 있다. 자주 접촉하는 속옷이나 이불 등은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 삶거나 햇볕에 말려서 진드기를 제거하며, 물걸레질로 청소를 해서 먼지의 절대양을 줄여야 한다.

그러나 진드기는 사람으로부터 떨어지는 각질을 먹고사는데 하루에 한 사람에게서 떨어지는 양으로 수많은 진드기가 평생 동안 먹고 살 수 있으므로 진드기를 한 마리도 없게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럼에도 진드기의 절대 수가 적어지면 알레르기 증상은 눈에 띄게 줄어들게 되므로 환경관리는 매우 중요하고도 유용한 방법이다. 물론 마른 목초가 알레르겐인 경우에는 가을에 목초 가루 등이 많이 날리게 되므로 바람이 많이 부는 시기에는 창문을 열어놓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는 적절한 검사를 통하여 어떤 알레르겐이 자신의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서 환경조절을 어떤 방식으로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 외에 약물로 알레르기 반응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약물의 선택이나 투여량의 조절 등에 매우 고도의 의학적 지식이 필요하므로 경험 많은 의사에게 맡기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고 효과적이다.


가을철에 유행하는 눈병 - 눈ㆍ손 청결관리는 필수
자료제공 :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안과 이하범 교수

초등학생인 이 모 군은 해마다 이맘때면 눈이 가렵고 눈이 충혈 되어 안과 진료를 받는다. 한 달 내지 두 달 정도 안약을 넣고 치료하면 낫지만 해마다 어김없이 재발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이 군의 경우처럼 계절적인 경우도 있고 계절과는 상관없이 일 년 내내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이 오는 경우도 있다. 눈꺼풀이 붓는 경우도 종종 있고 결막은 우유빛 혹은 분홍빛을 띠며, 부종을 동반하기도 한다. 치료는 항히스타민 제제 등을 포함한 안약을 넣는다. 일반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주는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중에서 아토피성인 경우나 거대유두성 결막염의 경우에는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아토피성 결막염은 아토피성 피부염과 동반되며, 천식이나 편두통 등의 질환과 같이 올 수도 있다. 아토피성 혹은 거대유두성 결막염은 동시에 각막을 침범하여 영구적으로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이밖에도 흔히 눈병이라 부르는 유행성 각결막염이 가을에 유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아데노 바이러스 8,19형에 의해 발병되는 질환으로 전염성이기 때문에 한쪽 눈부터 시작되어 대부분 양안에 발생한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주로 여름에 유행이 되지만 요즈음은 1년 내내 볼 수 있다.

증상으로는 발병 초기에는 충혈, 통증, 눈물흘림 및 심한 이물감이 나타난다. 감염된 후 약 3~5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되며 약 반수에서 발병 후 5~14일 사이에 눈부심을 호소한다. 이는 각막중심부에 발생된 상피성 각막염 때문이다. 귀앞 림프선의 종창 및 통증이 있고 급성기에는 눈꺼풀이 붓거나 결막에 심한 충혈이 생긴다. 어린이는 인두통 및 설사를 동반하기도 한다. 증상은 대개 1~2주 사이에 좋아지고, 각막상피하에 혼탁을 남기게 되면 수개월간 시력 장애를 일으키지만, 대부분은 상처 없이 치유된다. 그러나 결막의 염증은 대개 3~4주까지 지속되며 발병 후 약 2주까지도 전염성을 갖는다.

유행성 각결막염의 치료는 각막염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안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감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바이러스를 직접 사멸시키는 약제는 없기 때문에 찜질, 통증 완화, 눈 주위를 청결하게 하는 대증요법이 주된 치료이다. 눈병을 앓고 있는 사람과 접촉한 다음에는 손을 씻는 등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예방은 수건을 따로 쓰는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유소아의 경우에는 감기 예방과 비슷하다.

가을철 피부 관리 - 야외활동 후에는 반드시 피부진정ㆍ보습
자료제공 : 한림대의료원 강동성심병원 피부과 김상석 교수

여름을 털고 가을을 맞이하듯 우리의 피부에서도 여름의 잔상을 털어 내야 한다. 여름철 산과 바다, 수영장에서 강한 자외선과 흘린 땀, 과도한 세안 등으로 시달린 피부를 건강하게 회복시켜야 한다.

특히 강한 자외선은 일시적으로 피부에 화끈거리는 느낌이나 홍반 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 장기적으로는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면 과도한 각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침착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 피부의 노화현상도 촉진시킨다. 그러므로 피부 진정, 세안 및 각질제거와 보습 등 피부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색소침착은 예방이 중요하지만 이미 생긴 다음에는 미백용 제품 등을 이용하여 관리를 해야 한다. 자외선으로 인해 피부노화가 발생하면 잔주름이 늘고 피부탄력이 저하되며 피부가 극도로 탁해질 수 있다. 요즈음 안티에이징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어 있으므로 사용해 볼만 하지만, 이 또한 자외선에 지나치게 노출되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는 것이 피부 건강에 좋다.

가을철은 체육대회, 야유회 등 야외활동하기 좋은 계절이다 보니 야생 식물들에 노출될 기회가 잦아진다. 각종 야생실물들은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을 발생할 수 있다.

은행나무는 은행나무 액이나 잎보다는 열매에 접촉할 경우 주로 문제가 된다. 원인 물질은 진콜릭 액시드(gingkolic acid)이고, 옻나무의 주성분인 펜타데실카테롤(pentadecylcatechol)과도 교차반응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을철에 은행 열매를 따다가 흔히 알레르기가 발생하므로 은행 열매에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는 사람들은 주의를 해야 한다.

옻나무는 페놀 계통의 강력한 항원을 가지고 있어 다른 식물들보다 많은 빈도로 피부병을 일으키고 있는 식물이다. 옻에 의한 접촉피부염은 야생 옻나무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 외에도 옻칠을 하는 사람에게 직업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옻을 닭과 함께 달여 먹은 후 전신적 피부염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가을의 꽃인 국화뿐만 아니라 여러 야생종의 풀들에 의해서도 접촉피부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나무나 풀에 피부가 직접 닿지 않도록 긴 소매와 바지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을철은 습도가 낮고 건조해지면 피부의 신진대사가 약화되어 지방분비가 적어지고 수분증발로 인한 가려움증을 동반한 피부건조증이 나타난다. 특히 노인들이나 건성피부를 가진 사람들,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사람들은 더욱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나이가 들면 피부표면의 지방질 분비가 줄어들고 호르몬의 변화와 각질층에서 수분 함유력이 감소함으로써 표피를 통해 수분손실이 증가하여 피부 건성화가 더욱 심해진다.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비누나 세척제, 기타 화학제품 등도 각질층에 있는 지방질의 손상을 초래해 피부건조증을 유발한다. 변성되거나 손상된 피부는 각질층에서 표피를 통해 수분손실이 증가하고 수분 함유력이 저하된 피부는 건조해진다.

피부건조증과 이로 인한 가려움증의 치료는 먼저 원인을 규명한 후에 교정해 주어야 한다. 계절적 요인으로 춥고 건조한 가을과 겨울에 증상이 심해진다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가습기를 사용하여 습도를 높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나이가 들어 피부가 건조해진 경우 과도하게 때를 밀거나 지나치게 더운 물로 목욕이나 사우나를 하는 것은 목욕 후 피부의 수분손실을 더욱 부추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피부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목욕할 때는 자극이 적은 순한 비누의 사용과 부드러운 목욕수건을 쓰거나 손바닥으로 부드럽게 때를 밀어주는 것이 좋다. 수건으로 물을 닦아낸 후 약간 물기가 남아 있을 때 바로 피부 완화제나 바디 로션과 같은 피부 보습제를 바르는 것이 좋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완화제로는 유레아(urea), 락틱 에시드(lactic acid), 알파-하이드록시 에시드(alpha-hydroxy acid) 등이 포함된 것이 있다. 흔히 접할 수 있는 바디로션(body-lotion)이나 크림 사용도 피부건조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가려움증이 심할 때 문지르거나 긁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할 수 있다.

피부건조증과 가려움증은 원인제거와 생활습관의 변화, 그리고 적절한 피부 보습제와 완화제의 사용으로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고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