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유럽 모두 차세대 먹거리로 ‘바이오 산업’을 지목하고, 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들이 바이오 산업에 주목하며 집중적인 투자와 규제 장벽 완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정부는 2035년까지 국내 바이오 생산 규모를 현재의 5배가량인 200조 원으로 늘리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바이오에 인공지능(AI), 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6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동부창고에서 '첨단바이오의 중심에 서다, 충북'을 주제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6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동부창고에서 '첨단바이오의 중심에 서다, 충북'을 주제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정부는 26일 '첨단 바이오의 중심에 서다, 충북'을 주제로 한 스물네 번째 민생토론회에서 첨단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들을 망라한 '대통령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initiative·계획)' 방향을 제시했다.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는 첨단바이오를 반도체의 뒤를 이을 차세대 주력사업으로 삼고, 국내 바이오 생산 규모 200조 원까지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AI 활용 신약개발, 디지털 치료제, AI 융합 첨단 의료기기 등 디지털 기술과 바이오가 결합한 '디지털 바이오'에 전폭적으로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국가바이오경제위원회(National Bioeconomy Board) 출범으로 미국 경제에 대한 바이오기술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으며, 위원회는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를 통해 사회적 복지, 국가안보, 지속가능성, 경제적 생산성 및 경쟁력을 증진하기 위해 공공 및 민간 부문의 파트너들과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바이오경제위원회는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 상무부 및 국방부가 공동의장을맡고, 국무부, 국립과학재단, 국토안보부, 보건복지부, 항공우주국, 법무부, 에너지부, 농무부 및 국가정보국장실 등 9개 연방부처 및 기관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바이든 대통령이 2022년 9월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행정명령 발표 이후 관계부처에서는 그 후속조치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국가바이오경제위원회가 미국 바이오경제를 달성하기 위한 필요한 조치를 주도할 예정이다.

유럽집행위원회도 지난주 유럽의회 및 유럽이사회 등에 보낸 통신문을 통해 미국 바이오 행정명령과 같이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를 육성하기 위해 연구, 규제, 투자, 표준, AI 활용, 국제협력 등이 담긴 정책조치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이 조치계획에는 EU 회원국마다 파편화된 규제 단순화 및 시장접근 촉진을 위해 ‘EU바이오기술법’ 제정을 검토하고, ‘규제 샌드박스’ 설립을 추진하며, 기업의 규제 및 스케일업 지원을 위해 ‘EU바이오허브’ 설립 내용이 핵심과제로 제시됐다.

또한, 올해 말까지 미국, 인도, 일본, 한국과 ‘국제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파트너십’을 출범해 연구 및 기술이전, 규제 및 시장접근 관련 전략적 협력가능성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