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을 치료하는 항암제의 조기 내성 발생 원리를 규명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로써 췌장암 신약을 개발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임가람방승민, 간담췌외과 강창무 교수와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 김성룡 학생 공동 연구팀은 췌장암 항암제 내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타입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왼쪽부터 세브란스병원 임가람ㆍ방승민ㆍ강창무 교수, 김성룡 학생, 카이스트 박종은 교수
왼쪽부터 세브란스병원 임가람ㆍ방승민ㆍ강창무 교수, 김성룡 학생, 카이스트 박종은 교수

이 연구 결과는 영국 유전학 학술지 Genome Medicine 최신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췌장암은 대부분 약물로 치료하게 된다. 환자의 90% 가까이가 수술을 받을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병기에서 진단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폴피리녹스, 젬시타빈, 아브락산 등의 항암제가 사용되는데, 평균 6개월 이내에 약제에 대한 조기 내성이 생겨 치료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위암 등 다른 난치성 암의 5년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음에도 췌장암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이유이다.

따라서 췌장암 치료 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성 발생 과정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두고 췌장암 세포 중 약물에 저항성이 없는 세포는 사멸하고, 저항성을 가진 세포만 살아남아 암을 진행시킨다는 잔류 이론과 췌장암 세포가 스스로 항암제에 저항성을 갖도록 진화한다는 전이 이론이 양립한다. 그러나 두 이론 모두 연구를 통해 제시된 근거는 없었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에서 20191월부터 20207월 사이에 수술을 받은 췌장암 환자 17명의 수술 조직을 활용하여 면역, 종양 등 세포 변이의 특성을 알아내는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췌장암 세포가 항암 약물 처리 이후 나타나기 시작했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전이 이론의 근거를 확인했다.

더 나아가 지금까지 알려진 전이 이론 타입의 세포 외에도 서로 다른 생물학적, 형태학적 특성을 가지고 항암제 저항성을 일으키는 타입의 세포 종류 5가지, Basal-like, Classical, EMT-related, Transitional, Ductal-associated을 추가로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신약 개발을 통해 췌장암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약물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임가람 교수는 췌장암에 항암제를 처리한 후 조기 내성이 발생하는 원리를 밝혀냈다항암제 투여에 따른 저항성을 조기에 차단함으로써 췌장암 치료 성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