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의료와 지역의료 붕괴는 의사수 부족이 아닌 의료시스템의 문제로, 건강보험ㆍ의료개혁 없는 의대정원 확대는 국민에게 건보료 폭탄으로 되돌아 갈 것 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원장 우봉식)은 바른사회시민회의, 한반도선진화재단과 공동으로 지난 19일 오전 한반도선진화재단에서 ‘건강보험과 의료개혁 없는 의사인력 조절은 안된다’는 주제로 의료개혁 긴급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이필수 의협 회장은 축사에서 “필수의료 기피 문제는 안전한 진료환경과 안정적인 미래가 담보되어야 해결되는 것”이라며, “젊은 의사들이 필수의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의료사고 형사처벌 특례와 수가 인상 등의 법·정책적 제도 개선이 필수 요소”라고 밝혔다.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인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개회사를 통해 “현재와 같은 의료시스템에서는 아무리 의사를 증원한다고 해도 의료의 왜곡은 해결할 수 없다”며, “건강보험의 개혁을 통한 의료인력의 재배치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김원식 건국대 명예교수는 ‘거시적 의료산업 지배구조, 건강보험 및 의료정책관점’ 주제발표에서 “OECD 기준에 맞춰 의대 정원을 증원할 경우 의사 공급 과잉으로 심각한 인력손실과 의료시스템이 무력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명예교수는 “증원된 의사가 필수의료를 전공하고 지역의사가 될 가능성은 요원하고, 의사 증원은 병ㆍ의원 간 경쟁을 촉진하여 과잉 진료를 낳아 의료비 증가는 필연적”이라며, “의료시장을 지배하는 건강보험 개혁이 우선되어야 하며, 소아청소년과와 산부인과 의사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수가 인상, 지역중심 응급의료계체 구축, 지역 의사는 지역에서 배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건강보험 재정 광역자치단체별 분리·운영 방안”을 제안했다.

박종훈 고려대 교수는 ‘지속 가능한 의료서비스를 위한 의료인력’ 주제발표에서 “필수의료·지역의료 붕괴 대안으로 의대 정원 증원이 논의되고 있으나 이는 의사들의 진료과목별 기피의 문제이지 의사 수의 문제가 아니다”고 지적하고, “우리나라 외래 이용은 OECD 평균의 8~10배로, 의사 수 부족으로 지적되는 OECD 기준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2000년 건강보험 통합 이후 권역별 의료전달체계가 붕괴되면서 지역의사 부족 문제가 발생했다”며, “의료전달체계, 건강보험 체계 등 의료 전반의 리셋을 통해 의료 수요에 대해 재평가하고 이를 통해 의사 수를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봉식 의료정책연구원장은 ‘건강보험 재정의 관점에서 본 의대정원’ 주제발표에서 “의대 정원 증원 촉발의 원인이 된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은 의사 수 부족이 아니라 응급의료체계의 문제로, 응급의료체계 전반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의대 정원 규모가 2,000명과 3,000명으로 증가하게 될 경우 2040년 요양급여비용 총액은 각각 약 35조, 약 52조가 더 늘어날 것으로 추계되어, 국민 1인당 월 6만원, 8만 5천원의 건보료를 더 부담해야 하는 등 의대 정원 문제를 정치적으로 결정하게 될 경우 국민의 건보료 폭탄이 불가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종태 인제대 교수는 ‘의사 인력양성과 의학교육정책’ 주제발표에서 “양질의 의사 양성을 위해 의과대학이 사회적 책무를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기반(참여) 임상 실습을 통해 향후 졸업생이 지역사회 및 소외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기초의학 전공자에 대한 연구 지원과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제도 도입이 필요하다”며, “의료계 대표가 과반 수 이상으로 참여하는 독립적인 상설 자문기관을 제도화하여 의사인력 수급계획을 위한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이날 의료개혁 긴급토론회에서 경제학자, 시민단체, 의료계는 한목소리로 의사 증원의 문제가 의료비 증가, 국민들의 부담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며, 정부의 신중한 정책 마련을 주문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