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에 정신의학 분야를 최초로 적용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의대 의료정보학교실 박래웅 교수팀(황규범이동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은 공개된 정신분석 문헌 속 환자의 병력 자료를 바탕으로 챗GPT를 통한 정신역동적 공식화를 작성했다고 4일 밝혔다.

왼쪽부터 아주의대 의료정보학교실 박래웅 교수, 황규범ㆍ이동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왼쪽부터 아주의대 의료정보학교실 박래웅 교수, 황규범ㆍ이동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 연구 결과는 정신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Psychiatry Research 최근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논문 제목은 ‘Assessing the Potential of ChatGPT for Psychodynamic Formulations in Psychiatry: An Exploratory Study(정신의학에서 정신역동적 진단을 위한 챗GPT의 가능성 평가: 탐색적 연구)’이다.

그에 따르면 정신역동적 공식화는 과거 환자가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의 무의식적 갈등과 행동감정 간 관계를 연결하여 증상이 갖는 의미를 해석설명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사례에 대한 이해 및 치료 방향에 대한 지침이 된다.

연구팀은 정신역동적 설명을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입력 문구를 설계했다. 이러한 입력 문구는 GPT 생성 키워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생성 키워드 문헌 등에서 얻은 일반적인 정신역동적 개념을 포함했다.

그 결과 챗GPT를 통해 적절한 정신역동적 공식화 작성 즉, 환자를 설명하는 정신의학적 분석 답변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GPT가 낸 결과는 핵심 증상 파악뿐만 아니라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증상을 연결하는 가설 등 문헌의 해석과 유사한 결과를 도출했으며, 다양한 정신분석 이론을 통해 적절한 답변을 내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GPT는 현재 과학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널리 사용하고 있지만, 정신건강 분야의 경우 개인 정보 보호 및 평가, 해석 등의 어려움으로 적용이 쉽지 않았다.

박래웅 교수는 이번 연구는 처음으로 챗GPT에 정신건강 분야를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면서 향후 챗GPT가 널리 상용화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