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양현, 이규배 교수
(왼쪽부터) 김양현, 이규배 교수

40세 이전에 폐경이 나타난 경우 50세 이상에서 폐경을 겪은 여성에 비해 심근경색과 뇌경색,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김양현 교수팀(이규배)은 최근 연구를 통해 조기폐경 및 이른폐경과 심혈관질환, 사망위험과의 관계를 규명, 이 같이 학계에 보고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국가검진데이터를 통해 2009년에 수검한 폐경이후 여성 1,159,405명을 대상으로 평균 10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중 19,999명이 조기폐경이었으며, 1,139,406명은 40세 이상에서 폐경이 나타났다.

연구결과, 40세 이전에 폐경이 나타난 경우 50세 이상에서 폐경을 겪은 여성에 비해 심근경색의 위험이 1.4배, 뇌경색의 위험은 1.24배, 사망률은 1.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에서 가장 낮은 연령 그룹인 30~34세에 폐경을 겪은 경우, 심근경색은 1.52배, 뇌경색은 1.29배, 사망률은 1.33배로 가장 높은 위험도를 나타나는 등 폐경의 연령이 낮을수록 모든 위험도가 증가했다.

이규배 교수는 “여성에게 발생하는 뇌심혈관질환은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인지도가 낮은 편이고 그로 인해 치료가 늦어지거나 치료를 받아도 소극적인 경우가 많다. 때문에 위험인자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과거 연구는 폐경이 뇌심혈관질환과 사망률에 독립적인 위험인자라는 사실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했지만 이번 연구에서 폐경이 발생한 연령이 낮을수록 뇌심혈관질환의 위험과 모든 원인으로부터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며 “연구결과에 따라 폐경은 그 자체만으로도 뇌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로서 고려되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양현 교수는 “국내 코호트 데이터를 통해 폐경이후 한국인 여성의 건강척도로서 폐경시기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라고 설명하며 “폐경 이후 여성에서는 더욱 적극적인 관찰과 위험인자 조절을 통해 치명적인 질환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추적 관리할 수 있는 관련 가이드라인이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 ‘Association Between Premature Menopaus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nd All-Cause Mortality in Korean Women’라는 제목으로 미국심장협회 학술지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