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비염은 소아청소년기에 가장 흔한 만성질환의 하나로 장기간의 증상에 따라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한편 폐기능이 떨어져 천식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따라서 유병기간이 길면 폐기능 검사를 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됐다.

특히 알레르기비염과 천식은 하나의 기관지로 연결되어 있어 환자의 1/2에서 2/3까지 천식을 동반, 알레르기비염 환자는 비록 환자가 잘 느끼지 못하거나 실제 천식 증상이 없더라도 천식이 발병할 가능성은 크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장기간 비염을 앓고 있는 환자는 천식발병을 조기에 찾아내고 치료하는 것이 심각하고 영구적인 폐기능 장애를 예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려대 안암병원 천식환경보건센터(센터장 유영)는 천식증상이 없는 소아비염 환자도 비염의 유병기간이 긴 경우 정기적인 폐기능 검사를 통해 천식의 발생을 조기 발견하여 적절히 치료함으로써 영구적인 폐기능 장애를 예방하는데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센터는 비염 환자에서 천식과 같은 작은 기관지의 폐기능 장애와 관련, 비염 증상으로 외래를 찾은 144명의 소아청소년 환자들에서 폐기능을 측정하고 천식으로의 이행의 위험인자를 조사했다.

평균 11세 총 144명의 환자는 콧물, 코막힘, 코가려움 등 비염 증상이 있었으나 천식의 전형적인 증상인 반복적인 기침, 색색거림, 호흡곤란의 증상은 없었다. 대상자들에서 폐기능을 측정한 결과, 1초간 최대호기량(FEV1)나 노력성폐활량(FVC)은 비교적 정상범위였으나 10.4% (15명)에서 작은 기관지의 폐쇄와 기류장애를 나타내는 노력성호기중간유량(FEF25-75%)이 예측치의 65%로 이하로 낮아져 작은 기관지에 기류제한이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FEF25-75%가 65% 미만으로 작은 기도의 기류제한이 있는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를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결과 혈액 총 알레르기수치, 혈액 호산구수, 호기산화질소 농도는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작은 기관지의 기류제한이 있는 환자의 비염 유병기간은 5.39년, 그렇지 않은 환자들의 비염 유병기간은 3.14년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영 센터장은 “비록 천식 증상이 없는 비염 환자에서도 유병기간이 긴 경우에는 천식과 같이 작은 기도의 기류제한이 올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폐기능 검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