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연령별 대뇌 백질고강도신호 확률지도가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팀에 의해 개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뇌혈관질환이나 혈관성 치매를 일으키는 백질고강도신호는 뇌 MRI 검사로 파악할 수 있는데, 단순 노화로 생길 수 있는 수준인지 혹은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병적인 수준인지 구분해주는 정량적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 전문지인 <뉴로이미지: 임상(Neuroimage: Clinical> 최근호에 논문으로 게재됐다.

그 동안 대뇌백질고강도신호 연구는 주로 서양인에 집중됐다. 동양인은 서양인과 뇌 모양과 뇌혈관질환 위험도가 달라 기존 연구를 적용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건강한 한국 노인들의 데이터를 이용한 지도를 만들어 백질고강도신호를 연구하는 표준 아틀라스로 활용하고자 했다.

김기웅 교수팀이 동양 최초로 개발하고 검증한 이 지도는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KLOSCAD)’ 광주 치매코호트연구단(GARD)‘에 참여한 60세 이상 노인 300명의 뇌 MRI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이 노인들은 심뇌혈관 질환이 없고 인지능력이 정상이었다.

연령별 한국 노인 백질고강도신호 확률지도
연령별 한국 노인 백질고강도신호 확률지도

확률 지도를 이용하면 대뇌 백질고강도신호가 60~64, 65~69, 70~74, 75~79, 80세 이상의 다섯 개 연령군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백질고강도신호 연령은 자신의 실제 나이와 동일할 수도 있고 실제 나이보다 적거나 많을 수도 있다.

대표적으로 백질고강도신호가 실제 나이와 동일한 케이스, 실제 나이보다 적은 케이스, 실제 나이보다 많은 케이스 등 3명의 노인을 선정하여 백질고강도 신호를 백질고강도신호 확률지도에 겹쳐 표기했을 때, 백질고강도신호 연령이 실제 나이보다 많은 사람에게서는 확률지도 범위를 넘어서는 신호가 관찰됐다.

3명 모두 MRI 촬영 당시에는 인지기능이 정상이었지만, 백질고강도신호 연령이 실제 나이보다 많았던 사람에서만 2년 후 인지장애가 발생했다. 백질고강도신호가 실제 연령대에 비해 높으면 인지장애 발생 위험이 높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김기웅 교수는 그동안 명확한 판단 기준이 없어 추가적인 진단이나 치료가 필요한 대뇌백질고강도 신호를 판독하기 어려웠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판독 수준을 끌어올려 국내 노인들의 뇌건강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 교수는 임상에서 건강한 노인의 백질고강도 신호 확률을 넘어서는 수준의 백질고강도신호가 관찰될 경우 그 원인에 대한 진단과 치료, 그리고 인지기능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인지강화 활동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