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항체치료 반응을 매개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전이 밝혀졌다.

그동안 다발성 골수종은 약제에 대한 불응으로 치료가 어렵고 항체치료제가 잘 반응하지 않는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 연구 결과는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 김진석ㆍ조현수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김경환 교수 연구팀은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와 함께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항체치료 반응을 매개 및 예측할 수 있는 기전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미국암학회(AACR) 저널인 <임상암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IF 10.107) 최신호에 논문으로 발표했다.

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 김진석ㆍ조현수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김경환 교수,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 김진석ㆍ조현수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김경환 교수,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

그에 따르면 연구팀은 먼저 다발성 골수종 암세포를 직접 파괴할 수 있는 면역세포인 자연살해세포의 다양성을 밝히기 위해 다발성 골수종 진단을 받은 환자의 골수 검체를 이용해서 단세포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골수 내에 적응면역의 특성을 갖는 기억-유사 자연살해세포, 말단분화 자연살해세포, 미성숙 자연살해세포 및 열충격단백 관련 자연살해세포 등 다양한 자연살해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연구팀은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받은 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기존에 알려졌던 고식적인 자연살해세포와 면역기억의 특성을 갖는 기억-유사 자연살해세포의 면역표현형을 분석하고 그 존재 비율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기억-유사 자연살해세포가 기존 알려졌던 고식적인 자연살해세포와는 다른 특이적인 면역표현형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억-유사 자연살해세포가 항체를 매개로 한 사이토카인 방출 능력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고식적인 자연살해세포에 비해 월등히 우월함을 확인했다. 또한 기억-유사 자연살해세포의 존재 비율이 높은 환자일수록 항체를 매개로한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이 우수함을 보였다.

김진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다발골수종에서 기억-유사 자연살해세포가 항체치료제의 효과를 매개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면서 “앞으로 혈액암에서 항체를 활용한 면역세포치료에서 기억-유사 자연살해세포를 활용한 기술개발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