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이 시작되면 폐 기능이 점차 떨어져 폐경 이전보다 나빠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강북삼성병원 류승호 코호트연구센터 소장, 삼성서울병원 박혜윤 호흡기내과 교수, 조주희 임상역학연구센터장, 존스홉킨스대학 홍연수 박사 공동 연구팀은 국내 폐경기 여성 4만 3,822명을 대상으로 폐경 이행과정에 따른 폐 기능의 변화를 추적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강북삼성병원 류승호 소장 등 공동 연구팀은 국내 폐경기 여성 4만 3,822명을 대상으로 폐경 이행과정에 따른 폐 기능의 변화를 추적했다.
강북삼성병원 류승호 소장 등 공동 연구팀은 국내 폐경기 여성 4만 3,822명을 대상으로 폐경 이행과정에 따른 폐 기능의 변화를 추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북미폐경학회지 <Menopause> 최근호에 논문으로 게재됐다. 폐경 과정에 들어선 여성의 폐 기능을 시기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 사이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40세 이상 65세 이하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 전을 기준으로 폐경 초기, 폐경 후기, 폐경 이후 등 폐 기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폈다.

그 결과 폐경 이외에는 폐 기능에 영향을 줄만한 별다른 요인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폐경 그 자체로 폐 기능이 나빠지는 현상이 뚜렷했다.

폐경 이전과 비교하여 폐 기능 이상 유병률을 평가하였을 때 폐경 초기 1%에 머물다가 후기에 접어들면서 13%로 증가됐다. 폐경 이후 이러한 경향은 다소 완화하긴 했어도 여전히 폐경 이전보다 폐 기능 이상 유병률이 10% 더 높았다.

연구팀은 폐 기능을 평가하는 세부 항목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제한성 환기 장애(restrictive ventilatory disorder) 유병률을 측정한 결과 폐경 이전과 비교했을 때 각각 폐경 초기엔 2%, 후기 18%, 폐경 이후 15%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 기능에 악영향을 끼칠만한 다른 요인들이 없는 상태에서 이러한 변화가 나타난 데 대해 연구팀은 호르몬 변화를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여성호르몬의 한 종류인 에스트라디올은 일반적으로 항염증 작용을 하는데, 폐경 진행 과정에서 에스트라디올 수치가 떨어진 반면 난포자극호르몬이 증가하면서 폐조직의 염증을 불러왔을 것으로 풀이했다.

염증 지표 중 하나인 반응 고감도 C-반응단백(hsCRP) 수치 역시 폐경 이전과 초기 보다 폐경 후기, 폐경 이후가 더 높았다. 그 뿐만 아니라 폐경 이행 과정에서 복부 비만이 증가하기 쉬운 만큼 이로 인해 흉부와 횡격막의 움직임이 제한돼 숨쉬기 더 어려워진 것도 이유로 꼽았다.

연구팀은 “폐경은 자연스러운 인체의 변화이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슬기롭게 넘어가야 한다”며 “꾸준한 유산소 운동과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폐경기 폐 건강을 챙기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