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질병 악화를 최소화하면서 장기적 약물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요인들이 밝혀졌다.

왼쪽부터 강남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박민찬, 권오찬 교수
왼쪽부터 강남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박민찬, 권오찬 교수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류마티스내과 박민찬·권오찬 교수팀은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성공적인 약물감량 기준을 ‘질병이 제대로 조절된 기간이 5.3개월 이상’ 혹은 ‘종양괴사인자억제제 용량을 표준용량의 60.6% 이하로 감량하지 말 것’ 등 두 가지로 제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Therapeutic Advances in Musculosk eletal Disease>(IF=5.043) 최근호에 ‘낮은 질병 활성도의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종양괴사인자 억제제의 감량: 질병 악화와 관련된 요인들’ 제목의 논문으로 게재됐다.

강직성 척추염의 1차 치료제는 소염진통제인데, 과반수가 효과를 보지 못한다. 그래서 2차 치료제인 종양괴사인자억제제(TNF inhibitors)가 쓰인다. 종양괴사인자억제제는 장기간 사용하면 결핵 등 다양한 감염 위험을 안고 있다. 환자가 겪는 경제적 부담도 상당하다.

연구팀은 안정 질병 상태의 강직성 척추염 환자 중 종양괴사인자 억제제를 감량한 1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 악화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종양괴사인자 억제제를 감량한 101명의 환자 중 45명(44.6%)에서 질병 악화가 일어났다. 종양괴사인자 억제제 감량 시작 전 질병 조절 기간이 짧을수록, 종양괴사인자 억제제 용량을 많이 줄일수록 질병 악화가 잘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질병 조절 기간이 5.3개월 미만인 경우 예측 정확도가 AUC(곡선하면적) 값 0.745로 질병 악화를 예측할 수 있었다. 종양괴사인자 억제제의 용량을 표준 용량의 60.6% 이하로 감량한 경우에는 그 값이 0.761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질병이 잘 조절돼 온 기간이 5.3개월 이상이거나 종양괴사인자 억제제의 용량을 표준 용량의 60.6% 이하로 감량하지 않는다면 재발과 악화 없는 안전한 약물 감량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다.

박민찬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치료 후 재악화의 요인들을 제시함으로써 재발과 악화 없이 최적의 치료 효과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권오찬 교수는 “이러한 예측 인자를 바탕으로 한 종양괴사인자 억제제의 전략적 감량을 통해 질병의 악화 없이 장기간 사용에 따르는 의료비용 지출 및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