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서울대병원 김붕년ㆍ이정 교수, 중앙대병원 한덕현 교수.jpg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김붕년ㆍ이정 교수, 중앙대병원 한덕현 교수.jpg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와 인터넷게임장애(IGD)가 동반될 경우 인터넷게임장애가 잘 회복되지 않을뿐더러 회복되더라도 재발이 잦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터넷게임장애는 1차적으로 ADHD 공존 여부를 확인한 후 치료를 해야 치료율을 높이고 재발률을 낮출 수 있는 결정적인 요인임을 확인한 셈이다.

ADHD는 소아-청소년-성인기까지 이어지는 정신과적 문제로 아동·청소년 5~10%, 성인 2~5% 정도의 유병률을 보인다. 이 증상은 인터넷게임장애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ADHD 공존여부가 인터넷게임장애의 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지지 않았다.

서울대병원 김붕년이정 교수와 중앙대병원 한덕현 교수 연구팀은 22일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의 ADHD 공존 여부가 인터넷게임장애의 장기적인 경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아동·사춘기정신건강학회 학술지 <아동 심리학·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최신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연구팀은 2013~2015년까지 인터넷게임장애만으로 진단받은 환자 128(pure-IGD)과 인터넷게임장애 및 ADHD 공존 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 127(ADHD-IGD)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매년 진단평가, 증상평가 척도를 활용해 3년간 추적 관찰했다. 사회적 불안, 가정환경 등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뤄졌다.

그 결과 3년 후 인터넷게임장애의 회복률은 ADHD-IGD군은 60%에 머문 반면, pure-IGD군은 93%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ADHD-IGD군은 회복률이 낮고, 1년 이내에 재발 가능성이 높았다. 시간 경과에 따라 인터넷게임장애 증상의 심각도 역시 더 높았다. 또한 ADHD 증상의 감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터넷게임장애 증상의 감소와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가정환경이 인터넷게임장애 증상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해서는 가정환경 개선을 위한 가족치료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는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의 ADHD 공존질환이 게임장애의 임상 경과와 관련이 있으며, ADHD 증상의 변화가 시간 경과에 따른 게임장애 증상의 변화와 관련이 있음을 발견한 데에 의미가 있다.

김붕년 교수(소아정신과)연구를 통해 ADHD가 인터넷게임장애의 회복과 재발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됐다인터넷게임장애 환자들이 왔을 때 ADHD와 같은 공존질환이 있는지 확인 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특히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의 치료와 회복을 위해서는 공존 ADHD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와 치료가 가장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인터넷게임장애는 아직 정확한 원인, 병태 생리, 치료법 등이 확립되지 않은 새로운 질병 군으로 관련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