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분당서울대병원 이혜진 교수, 서울대병원 이진용 교수ㆍ정혜민 교수

외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소득 수준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혜진 교수와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이진용ㆍ정혜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국내의 코로나19 사망 위험을 분석한 결과 낮은 소득 수준이 사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Lancet Regional Health-Western Pacific 최근호에 게재됐다.

그에 따르면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진자 7,590명(5월 15일까지 확진자 대상)의 발생률과 치사율을 소득수준과 지역에 따라 분석했다. 이 분석에서 전국적인 코로나19 발생률은 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1백만명 당 424.3명, 건강보험 가입자의 경우 1백만명 당 136.3명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확진자 중 사망률을 의미하는 치사율은 의료급여 수급자에서 6.7%, 건강보험 가입자에서 2.7%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망 위험을 보여주는 교차비(odds ratio)를 분석했을 때 의료급여 수급자가 건강보험 가입자보다 치사율이 2.62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령, 성별, 기저질환 등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했을 때 의료급여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 사이의 사망 위험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의료급여 수급자에서 치사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고령자가 많고 기저질환을 앓는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전국적으로 동일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대구·경북 지역처럼 대규모 유행을 겪은 곳에서도 소득수준으로 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논문 제1저자인 이혜진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한 건강불평등은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나라는 초기부터 치료비 본인부담금을 정부나 지자체가 지원하는 등 선제적인 정책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교신저자인 이진용 교수(건강보험심사평가원 파견 근무)는 “소득 수준에 따른 건강불평등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국내 방역의 성과라고 볼 수 있다”고 평가하고 “이번 연구는 1차 유행이 지나가던 5월까지의 자료를 분석한 것인 만큼 2, 3차 유행이 지난 지금도 그 효과가 유지되고 있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