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연훈, 강엽 교수, 이윤영 연구강사

난청의 여러 가지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밝혀졌다.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정연훈 교수팀(이윤영 연구강사)과 아주의대 생리학교실 강엽 교수팀은 5일 “여러 원인 가운데 고지혈증과 제2형 당뇨로 생긴 난청의 발생기전을 밝히고, 아토르바스타틴 약물이 청력을 어떻게 보호하는지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인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BBA) 9월호에 게재됐다.

또한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난청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국내 특허등록(10-1831947) 했으며, 현재 미국 특허 출원(16/488,881) 중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고지방·과당 식이를 통해 고지혈증(당뇨 포함) 동물모델을 제작한 후 청력을 측정했다. 청력역치(주파수별로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의 크기)가 정상 일반식을 시행한 동물군에서는 16 kHz에서 14.8±1.1 dB, 32 kHz에서 15.3±1.2dB 인데 반해, 고지혈증(당뇨) 동물모델에서는 16 kHz에서 26.7±1.1dB 그리고 32 kHz에서 23.2±1.1dB로 더 나쁘게 나온 것을 확인했다.

난청 동물모델들의 귀 달팽이관 내 와우 조직을 분리하여 형태학적·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한 결과, 청각유모세포, 청신경세포, 혈과조 세포에서 정상 조직에 비해 ‘활성산소’와 ‘산화스트레스’ 마커들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있었다.

특히 세포생존과 항산화 물질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KT 단백질’이 비활성화되고, 항산화 단백질들 중 특히 SOD2의 감소로 인해 ‘내인성 세포사멸(apoptosis)’이 증가, 세포소실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난청’이 발생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난청 동물모델에 아토르바스타틴 약물을 복강 내 4주간 투여 후 다시 청력을 측정한 결과 청력역치값이 16 kHz에서 27.7±1.0dB 그리고 32 kHz, 26.6 ± 1.0로로 거의 변화 없이 유지가 된 반면, 위약(가짜약) 투여군의 경우 청력역치값이 16 kHz에서 38.2±1.9dB 그리고 32 kHz에서 37.5±3.1dB로 더 악화됐다.

이는 고지방·과당 식이에 의해 발생하는 청력감소를 아토르바스타틴 약물이 예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정연훈 교수는 “난청은 한번 생기면 원래대로 회복이 힘들다”며, “이번 연구가 고지혈증과 제2형 당뇨로 인한 난청을 미리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근거자료인 동시에, 노화성 난청의 예방을 위한 근거자료가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강엽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 사람들에게 매우 흔한 당뇨에서 일부 발생기전과 치료효과가 있는 물질을 확인한 것으로, 앞으로 당뇨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