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춘숙 의원

심평원에서 제공하는 팝업형태의 의약품안전정보서비스(DUR)를 실제 처방에 활용한 경우는 10건 중 1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DUR 팝업 발생 후 처방변경 현황’에 따르면, 2016년 11.9%였던 DUR 팝업 발생 후 처방변경률은 2017년 12.5%로 다소 높아지더니 그 이후 2019년 11.6%로 감소했다. 이러한 결과는 처방전 내에서 점검되는 부문과 처방전 간에 점검되는 부분이 모두 비슷한 양상이었다.

처방전 내 병용금기 의약품의 경우 2016년 28.9%였던 변경률이 2019년 6월 22.8%로, 연령금기 의약품의 경우 2016년 69.7%였던 변경률이 2019년 6월 45.3%로 감소했다.

임부금기(16년:41.4%→19년6월:36.4%), 비용효과적 함량(16년:12.0%→19년6월:10.0%), 분할주의(16년:15.2%→19년6월:14.5%)도 줄었다.

또한 처방전 간에서의 점검항목 경우는 병용금기(16년:40.2%→19년6월:25.1%), 동일성분(16년:14.0%→19년6월:13.2%), 효능군(16년:11.4%→19년6월:10.4%) 모두 감소했다.

심평원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이러한 동일성분 중복처방으로 인해 한해 낭비되는 금액이 연간 1382억원(2016년 기준)이었다.

정춘숙 의원은 “중복처방 등으로 인해 한해 천억원이 넘는 돈이 낭비될 수 있기 때문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시급한 개선책이 필요해 보인다”며, “의료현장에서의 처방변경률이 낮은 이유를 찾고, 필요에 따라서는 DUR처방변경에 따른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