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2만 9262건. 생존율은 8.7%, 뇌기능 회복률은 5.1%로 2006년 대비 각각 3.8배, 8.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와 소방청(청장 조종묵)은 “119 구급대가 병원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를 22일 ‘제7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에서 공동으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환자는 남자가 64-65%로 여자보다 약 2배 많이 발생했다. 급성심장정지가 발생하는 주원인은 ‘질병’에 의한 것으로, 전체 발생의 70% 이상이다. 질병 중에는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한 것이 95% 이상이었다. 급성심장정지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으로 두명중 한명 발생했다.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이 증가하는 긍정적 변화도 있는 반면, 지난 11년간 생존율의 지역간 차이는 더 벌어졌다. 2006년 4.2%p에서 지난해 8.6%p로 늘어난 것.

또 뇌기능 회복률의 지역간 차이는 2017년에는 전년보다 감소했으나, 2006년 1.6%p, 2016년 7.3%p, 2017년 5.9%p로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심폐소생술의 일반인 시행률은 매년 증가 추세로, 2008년 1.9%에서 2017년에는 21%로 9년 전에 비해 약 11배 증가했다.

심폐소생술 국민운동본부 하정열 이사장은 “환자 발견시에는 신속히 119에 신고하도록 하고, 심장정지가 가정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므로, 우리 모두가 심폐소생술에 관심을 갖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오동진 국가 심장정지 조사․감시 자문위원회장(한림의대 심장내과)은 “급성심장정지조사는 정부의 노력과 의료기관의 협조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국가조사통계지표를 생산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관련 인프라 개선과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