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 국가책임제 시대, 치매 정책의 나아갈 길’ 정책 토론회가 24일 국회서 토크콘서트로 열렸다.

치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급증을 고려할 때 치매관리 정책은 복지중심에서 보건과의 형평성을 맞추고 포괄적 치매 예방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재홍 대한치매학회 이사장(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은 24일 열린 ‘치매 국가책임제 시대, 치매 정책의 나아갈 길’ 정책 토론회에서 “치매 문제는 복지 정책과 함께 질환관리라는 보건 목표가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치매관리 정책이 치매센터 설립, 중증환자 의료비 지원 등 복지정책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에 대한 비판인 셈이다.

이 이사장은 “치매 증상 진행을 완화 시키고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건과 복지가 같이 가야한다”며, “특히 치매안심센터의 인력 구성이 치매전문 의료진을 중심으로 관련 교육을 이수한 의료인이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책수행에 필요한 목표를 잘 설계하고 전문가를 양성하는 등 체계적인 프로그램 등 치밀한 대책 마련을 당부했다.

특히 “복지정책 중심의 치매관리 정책은 장기적으로 재원 마련에 부담으로 작용해 한계가 있을 수 있다”면서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는 적극적인 예방정책을 통해 치매 발생률이 낮추고 있는 것처럼 예방을 미래형 치매정책의 중심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치매는 장기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만성질환인 만큼 재원유지 방안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과 함께 타 질환간 균형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 이사장은 “치매환자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고 단순 수용과 격리를 지양해야 한다”면서 “치매 전문의료진을 중심으로 교육 받은 인력과 함께 적절한 병동운영지침 등이 마련이 필요하고 치매안심요양병원 지원을 위한 수가체계 확립과 인력수급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