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태식 이사는 “재활을 통한 직장복귀는 국가 경제적 손실을 만회하고 새롭게 경제적 가치를 생산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15년 한해에 지급한 산재 보험급여는 총 26만9893명, 4조791억원에 달한다. 매년 9만명이 4일 이상 요양이 필요한 산업재해를 당하고 있는 셈이다.

산재로 인한 근로자 고통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경제적 손실 또한 크다는 의미다. 이는 곧 산업재해 예방의 중요성과 더불어 재활을 통한 직장과 사회복귀에 주목해야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산재장해인 직업 복귀율은 2000년 37.0%에서 2005년 42.3%, 2016년에는 61.9%로 크게 늘었는데 이러한 성장에는 2016년부터 근로복지공단 병원에서 시행한 요양 초기부터 의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직업재활사, 작업평가사 등으로 이루어진 직업사회재활지원시스템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산업재해가 발생한 급성기 치료단계부터 산재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맞춤형 재활시스템을 운영하고, 이러한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외래재활전문센터 등을 운영하는 것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신태식 근로복지공단 의료복지이사는 15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임기가 4달이 채 남지 않았다”고 웃으면서, “재활을 통한 직장복귀는 국가 경제적 손실을 만회하고 새롭게 경제적 가치를 생산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재해 근로자의 재활과 사회복귀가 우리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사고 또한 더 밝은 미래를 만드는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먼저 ‘의료・사회심리・직업재활’ 통합 운영해 산재환자의 특성에 맞는 전문재활프로그램 수가의 지속적 개발과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특히 향후 산재환자 직장・사회복귀촉진을 위한 사회심리와 직업재활 관련 프로그램도 개발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산재환자에게 필요한 직업재활서비스를 적기에 제공, 직업복귀 지원 및 직장복귀 지원프로그램을 철저히 추진하겠다는 방침도 전했다.

공단은 현재 고난이도 외상재활프로그램 신규 도입, 산재의료재활 표준화를 위한 프로토콜 및 가이드 개발, 화상환자 및 뇌․척수손상 재활프로그램 개발 연구용역 추진, 산재환자 전문재활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성과평가 및 효과성 분석을 통해 산재보험 지정의료기관을 확대 할 계획이다.

또한 의학적 근거를 더 확보하고 서울대병원과의 합동 진료․연구를 통해 산재 의료재활을 표준화도 나서고 있다.

신태식 이사는 “지난 8월말까지 다학제 재활진료, 산재재활 교육‧상담, 근골격계재활, 재활보조기구재활, 운전재활 프로그램 등 그 동안 수가가 없어 제공하지 못했던 서비스를 3700여명의 산재근로자에게 약 11만건을 제공했다”면서, “앞으로 직업재활을 위한 직장복귀 지원프로그램과 산재다빈도 상병 중 하나인 중추신경계 재활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