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복혈당장애는 당뇨병으로 진행하기 직전 상태로 ‘예비 당뇨병’으로 통한다.

이 공복혈당장애는 2형 당뇨병 가족력이 있으면 1.4배, 술을 즐겨 마시면 그렇지 않은 사람 보다 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필요하다.

경북대병원 예방의학과 배상근 교수팀이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를 토대로 성인(19∼69세) 3561명의 당뇨병 가족력과 공복혈당장애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고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이 13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연구 대상 5명중 1명이 공복혈당장애 상태였다. 검사상 혈당이 100㎎/㎗ 이하면 정상, 126㎎/㎗ 이상이면 당뇨병, 100∼125㎎/㎗이면 공복혈당장애로 진단된다.

공복혈당장애 환자의 흡연율(현재 흡연)과 월간 음주율(월 1회 이상 음주)은 각각 24.4%·66.0%로 공복혈당이 정상인 사람(각각 19.9%·57.4%)보다 높았다. 비만의 척도인 BMI(체질량지수)도 정상 공복혈당군이 낮았다.

당뇨병 가족력(부·모·형제 중 한 명 이상이 당뇨병 환자)이 있는 사람은 전체의 19.2%(685명), 가족 중 어머니가 당뇨병 환자인 사람이 이중 절반이었다.

당뇨병 가족력이 없는 사람의 공복혈당장애 비율은 5명 중 1명(20.1%)인 데 비해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4명 중 1명 꼴(24.2%)이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사람이 공복혈당장애를 가질 위험은 가족력이 없는 사람의 1.39배”이며 “부모보다 형제·자매가 당뇨병 환자인 경우 공복혈당장애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았다”고 밝혔다.

또 “공복혈당장애는 당뇨병 가족력보다 과체중이나 고혈압 등 만성질환과의 관련성이 더 컸다”며 “당뇨병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비만·고혈압·이상지질혈증·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