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정사에서 서북쪽으로 9km쯤 더 오르면 오대산 비로봉으로 올라가는 중턱에 상원사가 있다. 산내 암자이지만 신라의 보천, 효명태자와 조선 세조 임금이 관련되어 역사적 내력은 깊은 사찰이다. 선원(禪院)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어 월정사의 산내 암자에 그치지 않는 명성을 지닌 사찰이다. 참선 수행 사찰이다.

상원사는 신라 성덕왕 4년(705)에 신라의 보천(寶川)과 효명(孝明) 두 왕자에 의해 오대산 중대(中臺)에 창건되었다. 그 처음 이름은 진여원(眞如院)이었다.

신문왕의 후계를 두고 나라 안에 분쟁이 일어났을 때 중생들이 두 왕자들에게 왕위를 권유했을 때 보천태자는 한사코 돌아가려하지 않자 효명대사가 중의에 따라 왕위에 오르니, 성덕왕(聖德王)이다. 오대산 수도 중 여러 모습으로 문수보살이 나타내 보이던 장소에 진여원을 개창하였는데 이곳이 지금의 상원사 자리다.

고려시대에는 상원사의 중창 발자취를 찾을 길 없다. 이색(李穡)의 오대상원사승당기(五臺上院寺僧堂記)에는 고려 말 나옹스님의 제자 영로암(英露庵)이란 스님이 오대산 유람 중 타다 남은 상원사를 중창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 말부터 척불(斥佛)정책이 일기 시작하면서 조선시대에는 더욱 거세졌다. 불교는 극심한 박해를 받는다. 조선 태종은 승려의 도성 출입을 금지시켰다. 한편 11종(宗)이던 불교 종파를 7종(宗)으로 통합하면서 척불에 앞장섰다. 그의 만년엔 상원사 사자암을 중건하여 자신의 원찰로 삼았다.

권근(權近)에게 명하여 ‘먼저 떠난 이의 명복을 빌고, 후세에까지 그 이로움이 미치게 하여 남과 내가 고르게 불은(佛恩)에 젖게 하라’고 했다.

단종(端宗)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세조는 불교에 귀의했다. 잘못을 참회하기 위해 많은 불사를 일으켰다. 나라에 간경도감(刊經都監)을 설치하여 불서(佛書)간행에 힘을 기울이기도 했다. 세조는 오대산에서 두 번의 이적을 체험했다. 지병을 치료하기 위해 상원사에서 기도 중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병을 고쳤으며, 상원사 참배 중 고양이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 일화가 두 번째 이적이다. 그리고 세조는 금강산 어느 고개에서 자신이 직접 출가하려 했으나 여러 대신들이 만류하자 머리 정수리만 단발하여 그때부터 그 고개에 단발령(斷髮嶺)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는 일등은 만인에 회자되고 있다.

상원사 주차장에서 상원사로 올라가는 길옆에 서있는 관대(冠帶)걸이는 조선 세조대왕이 이곳에 의복을 벗어 걸고 목욕하여 병이 나은 곳이다. 세조가 목욕하려고 의관(衣冠)을 벗어 이곳에 걸었다고 하여 ‘갓걸이’ 또는 ‘관대(冠帶)걸이’라 부른다.

관대걸이 지나 150m쯤 올라가다 보면 오른편 숲 속에 상원사 부도가 있다. 방한암, 탄허, 만화 등 세 분의 부도를 모셨고 옆에는 탑비가 있다. 이 부도들은 세 분 스님들이 오대산에 머물면서 불법홍보와 가람수호에 진력하신 공로에 문도들이 세웠다.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鍾)은 현존하는 한국 종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다. 아름답고 청아한 종소리는 이루 비길 데 없다.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조성되었다. 조선 태종 때 불교가 박해받던 시기에 안동으로 옮겨졌다. 조선 예종원년(1469)에 상원사로 다시 옮겨왔다. 이 종은 한국 종 고유의 특색을 모두 갖춘 대표적 범종이다. 음통(音筒)이 있는 용뉴 아래 종신은 약간 길쭉하게 배를 불리다 끝에서 안으로 살짝 오그라든 형태가 이상적인 비례감과 안정감이 있는 조형미를 이루었고 풍부한 양감과 함께 세부적인 묘사수법이 사실적이다.

종신(鍾身)에 있는 상대, 하대. 4유곽(遊廓)의 문양은 모두 당초문(唐草紋)을 바탕으로 2~4인의 작은 주악비천상(奏樂飛天像)이 있는 반원권문(半圓圈文)이 새겨졌고 종복(鍾腹)에 비천상과 교대로 있는 당좌(撞座)는 8판연화문(八瓣蓮花紋)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비천상은 경쾌하기 이를 데 없는 모습으로 구름 위에서 천의(天衣)자락을 휘날리는 모습이다. 또 공후와 생(笙)을 연주하는 손의 표현이 매우 섬세하여 생동감이 넘친다.

볼록한 두 뺨, 유연한 신체에 걸친 천의 등은 8세기 전반의 이상적인 사실풍의 불교조각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정상에 약독하는 한 마리의 용이 있고 그 옆에는 연꽃이 조각된 음통(音筒)이 붙어 있다. 용뉴 좌우에는 70자에 달하는 명문이 해서체로 음각되었는데 첫머리에 ‘개원 십삼 년을 축 3월8일 종성기지(開元十三年乙丑三月八日鍾聲記之)’라고 되어 있다.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원사 종에 보이는 음통, 종 끝 부분이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형(鍾身型) 상대와 하대 및 4윤곽 등의 구조적 특징은 한국 종의 대표적 유형이 되어 이후의 모든 종에 계승되었다. 국보 제36호다.

이 종의 소재 사명(寺名)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조선 초기 경북 안동 본부(本府) 문루(門樓)에 걸려 있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 종은 안동 근처의 어느 사찰에 봉안되어 있다가 태종이 불교를 박해할 때 안동문루로 옮겨졌다고 한다.

세조 때 상원사에 봉안할 종을 팔도에서 찾던 중 안동에 있던 이 종이 선정되었고 세조가 승하한 직후 예종 원년에 상원사에 도착했다고 한다. 종을 안동에서부터 상원사로 옮겨오던 중에 3,379근이나 되는 큰 종이 죽령(竹嶺)을 넘으려 할 때 노상에서 움직이지 않으므로 사람들이 종꼭지를 하나 떼어서 안동으로 보내니 비로소 움직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전설을 입증하듯 네 곳의 유곽안에 1곽(廓)의 종유가 하나 없다.

오대산의 다른 이름은 청량산(淸凉山)이라고도 하는데 청량선원(淸凉禪院)은 문수보살이 상주하는 산이다. 이 선원은 1947년 월정사 주지 이종욱 스님이 금강산 마하연(摩訶衍)의 건물을 본떠 지었다. 동북45도 방향의 이 선원은 정면 8칸, 측면4칸의 ㄱ자형 건물이다.

기록에 따르면 조선시대엔 신미대사의 발원에 따라 세조가 상원사를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삼으려고 학열스님에게 친히 불사를 주관케 했다. 학열 스님은 세조11년(1465)에 공사를 시작하여 이듬해 동서불전(東西佛殿)을 비롯하여 누각, 나한전, 청련당, 승당, 선원 등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이 법당은 1946년 선원 뒤 조실(祖室)에서 실화로 소실되자 1947년 새로 지은 것이다. 6.25전쟁 중 군인들이 법당을 불태우려 하자 방한암 스님이 목숨을 내걸어 지킨 것은 유명한 일화다. 선원 안에는 세조 때 조성한 목조문수동자상(국보 제221호), 문수보살상과 서대에서 옮겨온 대세지보살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문수동자상의 복장유물(보물 제793호)들은 월정사 성보박물관에서 전시중이다.

상원사 법당 앞에 있는 고양이 석상은 조선 세조 임금과 관련이 있다. 하루는 세조가 기도하러 상원사 법당에 들어가려 하자 고양이가 나타나 세조의 옷소매를 물고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 괴이하게 여긴 세조는 법당 안팎을 샅샅이 뒤진 끝에 불상을 모신 탁자 밑에서 세조를 죽이려는 자객을 찾아냈다. 고양이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 세조는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상원사 고양이를 잘 기르라는 뜻에서 묘전(猫田)을 하사했다. 그래서 예로부터 상원사를 중심으로 사방 팔십 리 땅이 모두 상원사 땅이 되었다.

문수동자상(文殊童子像)은 상원사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상원사가 오대산에 문수보살이 머무는 곳임을 가리키는 중요한 동자상이다. 옛날 상원사 화재 때에도 선객들이 이 동자상을 불길로부터 구해내기에 온 힘을 쏟았던 유명한 상이다.

문수동자상은 나무로 조성된 불상이다. 보관이 없는 머리는 양쪽으로 묶어 올리고, 앞머리는 자연스럽게 내려 이마를 가렸다. 얼굴은 양 볼을 도톰하게 하여 천진해 보인다. 이목구비는 온화하고, 적당히 가는 목에는 삼도(三道)가 보인다. 가슴에는 영락(목걸이)을 걸치고, 오른편 가슴 쪽으로 치우쳐 드러난 통견의 천의를 걸치고, 가슴 밑으로 띠를 매었는데 옷주름이 명확하다.

손 모양은 오른손을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왼손을 내려서 엄지와 약지를 맞댈 듯한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을 하고 있으며 왼쪽 다리는 안으로 접고 오른쪽 다리는 밖으로 둔 반가부좌를 하고 있다. 이 불상은 조각수법이 뛰어날 뿐 아니라 1984년 7월 문수동자상에서 조성발원문 등 23점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어 이 불상이 조선 세조12년(1266)에 조성된 것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고려시대 불상에서 조선 전기 불상으로 전개되는 불상조성 양식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또 발원문과 함께 나온 조선시대 초기의 의상과 다수의 불경은 조선 복식사 및 불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 때 발견된 23종의 유물은 보물 제793호로 지정되었다. 이 문수동자상의 조선 세조대왕이 직접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조성했다고 전해진다. 크기는 98cm이며 국보 제221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