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산은 수도권 남서부의 귀중한 산림욕장이 있고 안양, 군포, 안산, 시흥 시민들의 만남의 산이다.
경기도 안성시 칠장산에서 북서쪽으로 가지를 친 한남정맥이 수원 북쪽 광교산(582m)을 지나 의왕시와 경계를 이루는 백운산(566m)에 이르면 서쪽으로 휘어 서서히 고도를 낮추고 의왕시 남쪽 오봉산(204.2m) 감투봉(18m)~쑥고개까지 잔잔하게 이어진다.

쑥고개를 지난 한남정맥은 슬기봉(469m)을 들어올린 후 북동쪽으로 지맥을 하나 흘린다. 이 지맥상에 수리산(修理山) 정상 태을봉(太乙峰?489.2m)~관모봉(426.6m)을 들어올린 후 여맥들은 안양천으로 가라앉는다.

한남정맥은 슬기봉에서 일단 서쪽으로 이어져 약 1km 거리 451.5m 봉에서 남서쪽 바람고개 방면으로 능선을 분가시킨 다음 북서쪽으로 방향을 잡아 수암봉(秀岩峰?398m)으로 이어진다. 수암봉을 지난 한남정맥은 시흥 운흥산(203m)~인천 계양산(395m)을 지나 김포 문수산(370m)으로 이어진다.

수리산은 산세가 H자 형이다. 한남정맥을 살짝 틀어나가는 슬기봉과 그 서쪽 451.5m봉 북쪽 수암봉에서 451.5m봉 남서쪽 바람고개 능선으로 세로로 남쪽 쑥고개로 능선이 세로로 이어져 H자 형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이 산세에 맞춰 북으로는 안양 병목안~담배촌이 남으로는 군포시 속달동 납다골이 분지같은 계곡을 이룬다. 이 계곡을 가두고 있는 능선들을 경계로 대략 북동으로는 안양시, 남동으로는 군포시, 남서쪽은 안산시, 북서쪽으로는 시흥시가 수리산을 감싸고 있다.

수리산 이름은 산본이나, 군포에서 바라볼 때 산세가 비상하는 독수리 형상으로 보이는 데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태을봉 정상 비석에는 이 안양천과 수리산이 산태극, 수태극의 형세와 같아서 태을풍수의 명당처로 꼽혀 산이름이 자연 태을봉이 되었다고 하는 내용이 쓰여 있다. 옛날 선인들은 십간(十干)의 하나였던 태을(太乙)을 부귀의 근원으로 보았다. 그래서 극심한 가뭄이 들면 태을봉에서 기우제를 지냈는데 신기하게도 비가 내렸다는 설도 전해오고 있다.

태을봉 남쪽 슬기봉 이름도 본래는 수리의 한 종인 솔개에서 생긴 이름이라 전해진다. 태을봉과 마주보는 수암봉도 예전에는 독수리바위 봉우리라는 뜻인 취암봉(鷲巖峰)이었다. 이 이름이 구한말 때 일제가 쓰기 편한 한자로 개명하면서 수암봉(秀岩峰)이 되었다 한다.

수리산 이름에 대한 가장 정확한 정보와 지명유래로는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지지> 안산군조에서 찾을 수 있다. ‘수리산은 안산고을 동쪽 5리에 있는데, 태을산이라고도 말하고 또 견불산이라고도 말한다. 깎아지른 듯 높이 솟은 독수리 바위봉이 있는데, 이 고장 방언으로 독수리를 일컫기를 수리라고 한다.

70년대 까지 수리산 등산은 안양 병목안쪽에서만 등산이 이루어졌던 산이다. 78년 안산군에 반월공단 단지가 건설되고 89년 안양시에서 군포시, 산본 신도시로 분할되면서 산 아래에 넓게 포진하여 사방에 등산로가 생겼다.

수리산은 군포, 안양, 안산 시민들의 마음의 안식처로 사랑을 받는다. 수리산은 군포시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군포시의 진산이다. 수리산 명칭의 유래는 수리산의 빼어난 산봉의 방위가 마치 독수리 같아 ‘수리산’이라 하는 설이 있고, 또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되어 현재 속달동에 위치하고 있는 절이 신심을 닦는 성지라 하여 수리사라고 하였는데 그 후 산명을 ‘수리산’이라 칭하였다는 설이 있는가 하면 조선조 때에는 왕손이 수도를 하였다 하여 ‘수李산’이라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수리산 지형은 청계산(618m), 광교산(629m), 관악산(629m), 백운산(504m) 등 광주산맥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산 중 하나로 군포시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가장 큰 산으로 태을봉(489m)을 중심으로 남서쪽 슬기봉(451.5m) 북쪽으로 관모봉(426.2m) 북서쪽으로는 수암봉(395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계는  수리산(태을봉489m, 슬기봉451.5m)이 군포시 서측에 남북으로 형성되어 안산시와 경계를 이루며 수리산 능선이 동서로 뻗어 군포시를 양분하고 있으며 수리산은 평지에서 갑자기 솟아오른 듯한 산계를 이루고 봉우리 및 절벽은 대체로 규암이고 계곡지대에는 풍화에 약한 흑운모 호상 편마암이다.
안구상 편마암이 많으며, 부분적으로 백운모 및 흑운모 편암이 협재되어 있다.

수리산 등산 안내지도를 펼쳐보면, 수리산과 함께 수암봉(398m)이름이 적혀 있다. 서울 근교 경기도 안양시, 군포시, 그리고 안산시 지도에는 수리산(489m), 수암봉(395m) 산 밑으로 서울외곽순환도로가 동서로 관통하며, 신갈~안산간 고속도로가 산 남쪽에서 따라 달리고 서해안 고속도로는 남북으로, 영동고속도로는 또 세 도시 남쪽에서 동서로 날세게 달리고 있다.

수리산은 군포, 안양, 안산 등 3개시의 진산이다. 3개 도시 시민들의 안식처다. 수리산은 한강 남방에서 관악산, 청계산과 더불어 수도 서울을 감싸고 있는 명산이다.

수리산의 산세는 그리 높거나 험하지 않다. 해발 489m의 산 높이로 군포, 안양, 안산, 시흥으로 뻗어내렸다. 산 남쪽 군포시내에서 바라보면 그 능선이 병풍처럼 싸고 있다. 시민들의 수리산 사랑은 특히 깊다.

2007년 전에는 안양시 병목안 등산코스가 유일했을 정도였다. 2011년 수리산 등산기를 쓸 때만 해도 정말 한가한 농촌지역이었다. 이제 여러 개의 등산로 중에서 등산로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산책하듯 걸을 수 있는 길이 사방으로 이어져 있다. 태을봉이나 슬기봉의 꼭대기로 오르지 않아도 산의 허리 쯤을 감아도는 편안한 산길을 걷다 보면 산본(山本) 신도시의 이쪽에서 저쪽 끝가지 산속을 이동하면서 트레킹을 즐기는 도시가 되었다.

산본역에서 군포시청, E-mart를 지나 문화예술회관 쪽으로 곧게 뻗은 도로를 따라 걸어가면 산본I.C 지나기 전 태을초교 육교로 올라가면 학교 뒷담을 끼고 산길이 시작되는데 이 길이 바로 노랑바위로 오르는 길이 되었다. 계곡 따라 20여분 올라가면 넓적 노란 바위 한 채, 그럴듯한 전설의 고장, 설화를 처음 듣던 등산기억도 새롭다.

좁은 길 따라 담장을 걸어 내려가면 8단지 아파트, 국제교육센터 건물이 조망된다. 숲에 숲을 헤져 아파트 13단지에서 산본 신도시를 길게 가로지르며 1,2단지까지 한 바퀴 돌면 3시간 반 정도 걸린다니 적절한 운동거리다. 샛길은 사방팔방, 신체조건에 맞는 운동까지 선택할 수 있다니, 가다가 힘이 들면 어디로든지 내려올 수 있어 버스타면 금정역이나 산본역은 10분 거리라 자랑거리란다.

도심에서 우거진 숲과 이어지는 길이 흔치 않고 거창한 장비 필요 없고, 발 편한 운동화 한 켤레 그리고 시간만 준비되면 언제나 떠날 수 있고 군포에서는 문을 열면 집 앞에 바로 수리산이 있다. Healing 센터가 따로 없다.

군포팔경엔 수리산 태을봉, 수리사, 반월호수 저녁노을, 덕고개당숲, 벚꽃길, 철쭉동산, 밤바위, 산본 중심가 야경이 있다. 문화유적지로는 조선백자 도요지, 정난종 선생묘, 전주 이씨 안양군묘, 김만기 선생묘, 이기조 선생묘, 방자유기 동래군파 종택 등이다.

군포 수리길은 수리산 둘레길, 수리산 임도길, 자연마을길, 도심테마길이 있다. 임도길과 자연마을길은 자랑할 만하다. 대야미역을 출발, 갈치호수, 정난종 선생묘역, 덕고개당숲, 남덕골, 수리사 임도 오거리, 철쭉동산 연결 둘레길은 수리산 둘레길의 대표주자다.

수리산 둘레길로 추천을 받았던 산본역 4번 출구를 나서 좌측으로 돌아 삼거리를 마주하고 다시 아파트 단지를 휘돌아 체육광장 사거리를 뒤로 하여 체육공원을 지나며, 축구장, 테니스장을 거쳐 산 밑자락 약수터를 지나면서 우측 등산로를 만나 나무계단을 밟아 힘겹게 수리산 둘레길 능선 줄기를 따라 능선을 발품팔아 오르막 내리막 고개를 따라, 감투봉 전망대를 거쳐, 내리막 능선 계단길을 따라 능내정 갈림길을 지나 철조망 사이에 둔 길을 맞아 슬기봉행 깔닥고개를 지나면서 오른쪽 철쭉동산 이정표를 따라 내려가면 수리산 역이다.

숲길 삼거리 지나 임도 오거리 다시 수리산 둘레길 코스다. 삼거리에서 오른쪽길을 택하여 산림욕장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8단지 아파트 입구 사거리에 철쭉동산이 있고 양지공원 지나 수리산역으로 향하는 산본역~수리산역 둘레길을 걸어보았다.

도심 속의 녹색섬 속을 걸어가면서 아파트 단지의 정원수 많은 거리의 숲 속은 인상적이었다. 20여 층 아파트촌, 이제 그곳에는 아파트 건물을 넘보는 메타세쿼이어 숲 속이 되었다. 높은 아파트 키를 넘보니 작은 집 앞 화원처럼 어울려 아파트촌은 건물의 사열대처럼 보이지 않았다. 아파트 앞에는 조금 키가 작은 나무가 자리하고 그 앞에는 정원수가 차지하여 보지 못하던 거리 풍경을 보았다.

산본 중심상가는 산본역과 이마트 사이에 자리한 상가밀집지역이었다. 밤이 되면 휘황한 불빛을 밝히는 중심상가 야경은 군포 8경의 하나라 한다.

다양한 업종이 분포되어 쇼핑이 편리하며 중앙에 있는 분수대와 이마트 앞 광장은 왁자지껄 유동인구의 집합장소였다. 거리의 야외무대의 문화예술 공연을 보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낮에 찾아 갔으니까. 도심의 문화공간이 사랑을 받고 있다는 증거의 하나로 그곳은 서울의 명동을 능가하는 넓은 터전에 겉보기에도 차이가 없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