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독감 발생에 대비해 정부는 현재 70만명분의 치료제(타미플루)를 비축하고 인체감염을 막기 위한 역학조사 및 만약의 경우 대량환자 발생시 응급환자 진료대책 등 제반 대책수립에 나선 것으로 드러났다.

이덕형 질병관리본부 전염병관리부장은 18일 오후 병원협회가 주최로 열린 조류독감 예방 전문가 좌담회에서 이같이 정부 대책을 밝혔다.

이 부장은 “현재 조류독감 병원체는 신종 인플루엔자로 진전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검출된 H5N1 바이러스에 의한 치사율을 초기보다 낮아지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병원체가) 사람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력은 높아진다”며 경각심을 환기시켰다.

농림부가 지난 14일 철새 등을 통한 닭, 오리 등 가금류의 독감감염을 막기위한 ‘조류독감 예방경보’를 내린 가운데 루마니아, 터키, 그리스의 가금류에 조류독감이 번진데 이어 17일 태국과 러시아에서도 추가 발병보고가 나오는 등 조류독감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마련된 이날 좌담회에서 전문가들은 방역당국의 철저한 감염경로 역학조사가 상시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예방의학, 감염내과 등 의학계와 수의학, 생물학 등 조류연구 관련 폭넓은 학제간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유종칠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조류독감 병원체(바이러스)와 숙주와의 관계규명이 중요한데도 현재까지 철새에 대한 연구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학제간 연구를 통해 조류독감의 분포 등 생태학적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예방책 수립의 출발점이자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철새가 조류독감 매개의 주범이란 주장은 근거가 없으며 철새, 텃새, 가금류 모두 숙주(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지속적으로 역학 조사를 전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수 인하의대감염내과 교수는 2년전 SARS의 교훈을 거울삼아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신속하게 치료받도록하며, 접촉이나 공기를 통한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 보호장구를 착용하며 손씻기 등 철저한 위생관리를 주문했다.

임융의 혜성병원장(병협 노사대책위원장)은 대량환자 발생시 대책을 위한 도상훈련, 북한에서의 환자발생 및 전파에 대한 대응책을 역설했다.

북한의 조류독감 발생에 의한 전파가능성 등에 대한 대응책에 대해 이덕형 부장은 지난해 WHO에 전문가를 파견, 질병감시차원에서 북한에서의 발생관련 정보를 신속하게 입수토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장은 발열감시시스템 가동, 계절별 백신을 활용한 예방접종, 역학조사 등 제반영역에서의 철저한 대비책을 강구하며 질병감시활동을 강화하고 환자발생시 초기격리에 주력하고 위기상황이 발생할 경우 필요하면 군 병상 활용문제도 검토대상이라고 언급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