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진단용 CD 한장만 있으면 병원에 가지 않고도 가정에서 암과 당뇨 등의 진단을 손쉽게 받을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 개발되었다.

21일, 포항공과대학교 유재천(40, 정보통신대학원)교수는 한 장의 CD를 통해 간암·전립선암·대장암을 비롯한 주요 5대 암과 당뇨 등의 질병을 임신진단 시약처럼 컴퓨터를 통해 손쉽게 자가 진단하는 "DBD(Digital Bio Disc)"와 DBD 드라이브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암의 1차 검진은 혈액에서 혈청이나 혈장 성분을 분리,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인데 이의 분리를 위해서는 의료기기인 원심분리기가 있어야 가능했다. 유 박사는 CD 드라이브가 작동할 때 고속회전을 한다는 것에 착안, 이 DBD와 드라이브를 통해 혈청을 분리하고, 검진에 필요한 제반 화학공정을 디스크에 담아낸 것이다.

유 교수는 “본인의 혈액을 채취해 DBD 표면의 주입구에 주입후, 일반 CD를 작동시키는 것처럼 DBD 드라이브에서 작동시키면 40분안에 검진이 완료되고 분석결과가 나오는 것은 물론, 이 결과가 병원과의 네트웍을 통해 지정 의사에게 전송되어 1:1 원격 진단도 가능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1차 표본(screening) 시험 결과 “병원에서의 건강검진시와 비슷한 90% 이상의 정확도를 가질 만큼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CD를 이용하면 일반인이 가정에서도 손쉽게 자가진단이 가능해 암 환자들의 조기진단과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돼 국민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비용과 시간, 접근 가능성의 등의 이유로 건강검진이 쉽지 않았던 서민층이나 농어촌 거주민들도 짧은 시간안에 저렴한 비용으로 진단받을 수 있어 의료대중화도 크게 앞당길 것으로 보인다.

현재 1차 임상시험 및 상품화 작업을 마친 상태인 DBD는 국제 특허출원 중에 있으며, 식약의약품안전청의 승인을 받는 2006년 상반기쯤 시판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DBD 양산은 국내 생산 및 판매권을 가진 케이디미디어(주)가 현재 진행중에 있다.

이 제품은 한 장의 CD를 통해 간암·전립선암·대장암을 비롯한 주요 5대 암과 당뇨 등의 질병을 임신진단 시약처럼 컴퓨터를 통해 손쉽게 자가진단 및 원격진단 하는‘DBD(Digital Bio Disc)"와 "DBD 드라이브"로서 세계최초로 개발된 제품이다.

즉, 본인의 혈액을 채혈기구를 통해 채취해 DBD 표면의 주입구를 통해 주입 후, 일반 CD를 작동시키는 것처럼 DBD 드라이브에서 작동시키면 40분 안에 검진이 완료되고 분석결과가 나온다. 그리고 그 결과와 문진표를 병원과의 컴퓨터 네트웍을 통해 지정 의사에게 전송되어 1:1 원격 진단을 하게 된다. 당뇨는 자가진단이 가능하며, 암의 경우는 의사와의 원격진단을 통해 최종 진단을 하는 제품이다.

자각증상이 있어야만 병원을 찾았던 암 환자들이 DBD로 손쉬운 원격 자가 테스트를 함으로써, 보다 빨리, 보다 많은 환자들이 병원을 조기 방문할 수 있어 국민건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비용과 시간, 접근 가능성 등의 이유로 건강검진이 쉽지 않았던 서민층이나 농어촌 거주민들도 짧은 시간 안에 저렴한 비용으로 진단받을 수 있어. 의료대중화도 크게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암의 2/3은 예방과 조기진단으로 해결 및 완치가 된다고 한다. 이에 세계 각국 의학계는 ‘암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예방과 조기진단이라는 신무기를 개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현재 저소득층의 건강 검진율이 10퍼센트에도 못 미치고 있고, 이로 인한 검진시기를 놓쳐 암 발생 후의 막대한 인명 및 경제적인 피해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초기에 검진을 통해서 암을 발견하면 80% 이상이 완치가 가능한데, 발견이 늦어서 말기에 발견되는 경우에 완치율이 20%에도 채 이르지 못한다고 한다. 국내 사망자 4명 가운데 1명은 암으로 숨지고 있고, 현 단계에서는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발견이 암을 이길 수 있는 최선의 길이다.

이러한 시기에 진단용 CD(DBD)는 약 1~2만원의 저렴한 비용으로 1차적인 암진단(screening)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국민 건강 기여는 물론 세계 바이오 시장 개척과 바이오 유비쿼터스(Bio Ubiquitous) 분야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