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의사와 한의사간 의료일원화와 관련한 갈등과 관련, 조급하게 의료일원화 문제를 해결하려 하기 보다는 협진을 위한 모듈(module)의 개발이나, 상호 상대방 의학을 이해하기 위한 인적교류와 교육교류를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개진되어 주목된다.

의협 의료정책연구소(소장 김건상, 중앙의대 교수)는 지난 16일 오후 4시 의협 동아홀에서 "한국의료 일원화의 쟁점과 정책방안"주제로 제13차 의료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조병희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우리나라 의-한방 통합의 과정과 전망" 주제발표를 통해 의료일원화를 둘러싼 양측의 논쟁은 영역 또는 업무 관할권과 한의학의 과학성을 둘러싼 갈등이라고 분석했다.

또 의료일원화와 관련한 의료계의 논쟁을 종합해 보면 의학과 한의학을 별개로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주장은 거의 없고, 제3의 의학으로 나가자는데 동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특히 의학계에서는 제도 통합을, 한의계는 협진을 통해 협력기반을 구축한 후 통합으로 나가자는 차이를 보이고 있을 뿐 이라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의료일원화는 제도의 통합으로 달성되지만 그것은 최후의 선택이고, 선결과제는 실질적인 교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협력기반을 구축하는 일 이라고 강조했다.

그 일례로 의대생과 한의대생의 교환 교육, 침술강좌 또는 CT판독법 등 교환 강의,교수의 교환 강의 등을 제시했다.

조 교수는 현 시점에서 "서둘러 가능성이 낮은 통합에 집착할 필요는 없으며,문제를 들어내 놓고 자기를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협력을 위한 모듈(module)을 만드는 것이 지름길이며, 이를 통해 의료일원화 모형을 구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권용진 의협 사회참여이사는 "한국의료 일원화의 필요성과 추진방향" 주제발표에서 "전통의학의 경우 대부분 오랜 역사를 통해 시술되어온 것이 사실이나, 그것이 안전을 의미하지 않으며, 이미 중국에서 상당수의 한약재들이 부작용 때문에 사용이 금지됐고, 지금도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국민건강의 질을 높이는 관점에서 의료일원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