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자궁태반 치료기술의 동물모델이 세계에서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개발됐다.
이에 따라 조산아 치료와 태아수술 등 미래 첨단 의료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상당한 기여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은 23일 조선의대 송창훈 교수(연구책임자)와 서울의대 이국현 교수(공동연구자)팀이 지역대학 우수과학자 연구사업을 통해 이 같은 「인공 자궁태반 동물모델」을 국내 최초로 공동 수립했다고 밝혔다.


「인공 자궁태반」은 태아가 생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자궁과 태반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태아를 엄마의 자궁 속이 아닌 자궁 밖에서 키울 수 있는 인종장기 일종으로 조산아(혹은 미숙아) 치료의 미래기술로 여겨지고 있으며, 임상의학·의공학·재료공학 등 학제간의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는 분야다.
「인공 자궁태반」은 또 폐 기능이 미성숙한 조산아나 폐 기능에 장애가 있는 신생아에게, 폐호흡에 의존하지 않고 제대(탯줄)를 이용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조산아의 생존과 치료를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같은 동물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임신한 염소를 제왕절개 수술해 태아의 탯줄에 체외순환회로를 연결한 뒤, 태아를 어미로부터 분리시켜 인공양수 속에 넣는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 「인공 자궁태반」은 아직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어서 임신한 염소를 이용한 동물모델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수립한 연구성과는 인공 자궁태반 기술에 의해 태아를 약 48시간 생존시키는 단계이지만 앞으로 생존시간이 연장되고 합병증에 대한 연구가 뒤따른다면 임상 활용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공 자궁태반 동물모델은 수립 자체가 힘들고 어렵지만 한번 모델 수립이 이뤄지면 모체-태아간 약물전달경로, 기형발생기전, 뇌손상 기전, 장기발생 기전 등 의학적으로 중요한 연구재료를 제공해 주게 된다.

송창훈·이국현 교수팀은 지난 4월 일본산부인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