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박홍주 교수

난청 기간이 길수록 청각 및 언어인지와 관련된 대뇌피질 위축 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나 난청이 지속되면 뇌 기능이 떨어져 치매의 위험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증명됐다.

이와 함께 난청환자의 대뇌피질 변화 양상을 인공지능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고안돼 이를 활용한 인공와우 이식 수술 결과 예측이 가능해져 고도난청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전망이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박홍주 교수팀은 미국 남가주대 신경과 연구진과 함께 서울아산병원에서 보청기로도 청력을 회복하지 못해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시행한 성인 고도난청 환자 94명의 뇌 MRI(자기공명영상)와 대뇌피질이 정상인 환자 37명의 뇌 MRI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난청 환자에서 난청 기간이 길어질수록 청각과 언어인지를 관창하는 뇌 왼쪽 상부 측두엽을 포함한 많은 부위에서 대뇌피질 부피가 감소와 대뇌피질 위축 정도가 적을수록 인공와우 이식수술 결과가 좋은 것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난청 기간이 길어질수록 구체적인 특정 뇌 부위가 위축되어 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생기고, 특정 대뇌피질의 위축 정도에 따라 회복 여부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이다.

이에 박홍주 교수팀은 뇌의 위축된 정도를 역추적하면 인공와우 이식수술 후에도 언어 이해력에 따른 수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난청환자의 대뇌피질 변화 양상을 인공지능으로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그 결과, 뇌 MRI 영상자료를 가지고 인공와우 이식수술 결과를 오차범위 8.5% 내에서 예측할 수 있음도 함께 발표했다.

이번 연구로 인공와우 이식을 고민하는 난청 환자에게 적절한 수술 효과 기대 정도를 알려줄 수 있고, 수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박홍주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난청은 장기적으로 치매로 이어져 환자의 삶의 질을 낮출 수 있어, 난청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보청기 사용 등을 통해 꾸준히 청각피질을 자극하여 대뇌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청력이 나쁘지 않은 환자의 경우 보청기의 적절한 조절을 통해 성공적인 청각재활이 가능한 부분도 많다. 난청이 있는 경우 전문의와의 상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휴먼 브레인 매핑(Human Brain Mapping, I.F=4.421)’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