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이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신장에서도 고난도로 꼽히는 근위 세뇨관과 혈관이 결합된 관상 구조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포항공대 조동우 교수와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신장내과 김용균(가톨릭대 세포사멸질환 연구센터) 교수팀이 성공한 3D 신장 세뇨관-혈관 관상 구조체는 실제 인간의 신장처럼 미세 혈류가 흐를 수 있고 신장의 필수 기능인 근위 세뇨관과 혈관 사이의 재흡수 및 분비 기능을 정밀하게 구현했다.

또 이 구조체를 실험용 쥐의 신장에 이식했을 때 성공적으로 생착됐으며 신장질환이 있는 실험용 쥐에 이식했을 때 질환 일부가 호전되는 모습을 확인했다.

▲ 조동우 교수

3D 신장 세뇨관-혈관 관상 구조체는 기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동물실험을 대체하여 시험관에서 신장약물독성실험, 신장질환 모델링, 재생의학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됐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세포 기반 바이오 인공신장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지만 기존 기술로는 복잡한 세뇨관과 혈관의 상호작용을 구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관류가 가능한 신장 구조체 3D 프린팅에 성공한 사례가 있지만 개발된 신장 구조체를 따로 분리할 수 없

▲ 김용균 교수

어 재생의학적 용도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기존 3D 신장 구조체 개발이 갖고 있던 제한점을 극복하고, 세계 최초로 인공신장 모델 및 재생의학에 적용 가능한 바이오 인공 신장 플랫폼 개발에 성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논문은 생체재료분야 세계적 학술지 <Biomaterials>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