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강립 총괄대변인(보건복지부 1차관)은 “내년 1분기까지 ‘중환자 긴급치료병상 사업’을 통해 재유행이 발생하더라도 중환자 병상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위중과 중증환자가 크게 늘면서 중환자 치료 병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중환자 병상에서 집중치료가 필요한 중환자들은 대부분 위중 환자에서 나타나며, 이들을 위한 중환자 치료병상을 계속 확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의료기관의 자율신고를 통해 중환자 입원 가능 병상을 운영해 왔다. 현재는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을 지정하고, 필요시 의무적으로 중환자 병실로 동원하는 방식으로 중환자실 운영 체제를 변화시켰다.

현재까지 수도권 16개 병원의 64병상을 지정 완료했고, 이번 달까지 총 100병상 이상 지정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또 병동 전체를 중환자가 입원하는 병상으로 운영하는 ‘전담병동’ 지정제도를 도입해 연말까지 100병상 이상의 중환자 병상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김강립 총괄대변인(보건복지부 1차관)은 “내년 1분기까지 ‘중환자 긴급치료병상 사업’을 통해 400여 개의 병상을 추가 확충해 총 600여 개 이상의 중환자 병상을 확보, 재유행이 발생하더라도 중환자 병상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중환자 병상의 충분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이달부터 ‘중증환자 전담 간호사’ 양성을 위한 교육도 진행, 250여 명의 현장 투입도 준비하고 있다.

군에서도 군의관, 간호장교 등의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국립중앙의료원, 국립대병원 등 15개 공공 의료기관의 간호인력도 신속하게 확충할 계획이다.

경증과 중등증 환자에 대한 병상은 감염병 전담병원 재지정, 생활치료센터 추가 확보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15일 현재 감염병 전담병원은 43개 병원에 4138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 중 1531병상(37%)을 사용중이다.

생활치료센터도 정원 4297명 규모로 19개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15일 현재 652명이 입소(15.2%)했다.

앞으로는 입소 환자의 건강 상태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의 앱을 통한 비대면 진료 시스템 구축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현재 질병관리청 사례 정의에 의한 확진환자, 의사환자, 조사대상 유증상자에 대하여 건강보험과 정부 예산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 비용을 전액 지원하고 있다.

요양병원과 정신병원에 신규로 입원하는 코로나19 관련 증상이 없는 환자에 대해서도 50%의 비용을 건강보험에서 지원한다.

21일부터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에 신규로 입원하는 환자가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는 경우 진단검사 비용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한다.

취합검사 방식(1단계 그룹혼합검사, 양성시 개별 재검사)으로 검사가 진행되므로 단계별(1단계, 2단계)로 1회씩 건강보험을 적용하게 된다.

진단검사를 받는 환자는 검사 비용의 50%만 부담하게 되며, 1단계 검사 시 1만 원, 2단계 검사 시 3만 원 내외의 본인부담금을 추가로 지불하면 된다.

이 사항은 전국에 대해 실시되며,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 조치가 시행되는 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