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가원 교수>

임신 30주 미만 미숙아의 절반가량에서 ‘기관지폐이형성증’이 발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가원 교수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한 30주 미만 미숙아 521명을 분석한 결과, 48.4%인 252명에서 ‘기관지폐이형성증’이 발생했다.

임신주수가 28~29주에서는 14.6%, 26~27주 51.5%, 25주 이하에서는 57.5%로 크게 증가하여 임신주수가 짧을수록 발생률이 더 높았다.

신생아 인공호흡기 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10년간 ‘기관지폐이형성증’ 발생률은 2009년 68%, 2011년 48.2%, 2013년 41.7%, 2015년 41.5%, 2017년 65.7%, 2018년 55.9%로, 큰 변화가 없었다. 30주 미만 미숙아의 전체 사망률은 20.8%였다.

전가원 교수는 ‘기관지폐이형성증’이 발생한 미숙아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기관지폐이형성증 발생 미숙아 252명과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 269명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기관지폐이형증이 발생한 미숙아의 임신주수(26.3주)가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28.5주)보다 어렸다. 몸무게도 폐이형성증 발생 미숙아가 846g으로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1,202g)보다 작았다.

또 동맥관 개존증도 기관지폐이형증 미숙아에서 78.2%에서 나타나 발생하지 않은 미숙아(46.1%)보다 발병률이 더 높았다. 그 외에 ▲폐계면활성제 재투여 비율(19% vs 11.5&) ▲기계적 인공호흡 일수(39.8일 vs 6.2일) ▲입원기간(98.4일 vs 60.7일) 모두 기관지폐이형성증 미숙아에서 높았다.

전가원 교수는 기관지폐이형성증은 확실한 약이 없어 예방만이 최우선이라며, “산모들은 정기적으로 산전진찰을 받고, 조기진통이나 임신 중 이상 징후가 발생했을 때는 지체 없이 병원에 내원해 조기 치료하는 것이 조산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신생아학회 공식학술지 ‘Neonatal Medicine’ 최근호에 발표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