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창수 교수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자살충동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 교수와 김현욱 전공의 등 연구팀은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총 7,167명을 대상으로 운동습관, 성별, 소득, 음주여부 등과 자살충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햇다. 남성보다 여성이 꾸준한 운동에 더 영향을 받았다.

조사결과 자살충동비율은 운동량이 낮은 그룹은 9.1%인데 반해 적당히 운동하는 그룹은 6.6%로 약 1/3 감소했다. 또 남성보다 여성이 꾸준한 운동을 할 경우 자살충동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나치게 과한 운동을 하는 그룹은 자살충동 비율이 6.3%로 소폭 줄어드는데 그쳤다. 이는 지나친 신체활동은 오히려 대인관계 결여, 근육이상, 섭식장애 등 안 좋은 결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한창수 교수는“신체활동이 정신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몇몇 연구가 있었지만 자살충동이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 받아왔다.”면서“활발한 신체활동은 자살충동을 낮추는데 분명히 도움이 되지만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추후 성별 및 신체활동 범위 여부에 따른 자살충동 관련 권장 사항 제안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17년 우리나라 자살건수는 12,463건이며 자살률은 24.3명으로 OECD 국가 중 2위를 기록(2016년 기준)했다. 특히 취업난과 경쟁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20대의 경우, 2017년 전체 사망자중 절반에 달하는 44.8%가 자살이었고, 육체적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65세 이상 노인 자살률은 58.6명이다. 이는 OECD 평균의 3배에 달하는 높은 수치이다. 이처럼 국내에서 자살은 정신질환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중 하나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