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가 지원에 나선다.

인공지능·신약 개발 전문가로 이루어진 6개 연구팀과 운영관리기관을 구성해 향후 3년간 258억원을 투자하겠다는 것.

이 사업은 후보물질 도출, 임상시험 등 신약개발 단계별로 맞춤형 인공지능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기술개발의 효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되는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3개 분야를 선도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의약품 분야는 1200조원(2015, IMS Health)의 거대시장으로,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우 연 1조 이상의 매출을 창출할 수 있는 유망 분야다.

글로벌 제약사 애브비가 개발한 관절염치료제 ‘휴미라’의 경우 연매출 18조원에 달한다.

그러나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막대한 R&D비용(1조원 이상)과 15년에 달하는 긴 기간이 필요, 규모가 제한적인 국내 제약사에게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해왔다.

보건복지부는 “우리나라는 R&D를 통해 축적된 연구데이터 및 병원 진료정보 등의 우수한 의료데이터를 다량 보유하고 있어, 축적된 데이터와 우리나라의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을 인공지능에 활용하면 국가 신약개발 역량이 한 단계 도약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서, 신약 후보물질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신약개발의 기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계획이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한 신약 개발 방법인, ‘신약 재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 역시 진행된다.

재창출된 신약의 경우, 기존의 임상 허가를 통해 안전성이 검증되었던 약품인 만큼, 추가 임상기간이 짧아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이 있다.

‘신약 재창출’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연구책임자 이관수 교수)은 기존의 약물 작용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검증 등을 통해 플랫폼을 발전시켜나가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또 의약품의 시판 후에 이루어 졌던 기존의 사후적・수동적 약물 감시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서울 아산병원(연구책임자 박숙련)은 면역항암제 빅데이터를 집중 학습해 약물 이상 반응의 조기 예측과 신속 대처를 위한 약물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특히, 6개의 연구과제를 지원·관리하고 개발된 인공지능 플랫폼의 공유와 확산을 위해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연구책임자 손문호)이 빅데이터 확보·관리, 민간 공개를 위한 시스템 구축/운영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플랫폼 구축의 효율성 제고가 기대된다.

복지부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신약개발 기간을 최대 절반(15년 → 7-8년)까지 축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는 “향후 몇 년이 우리에게는 신약개발 분야의 새로운 도약의 시기가 될 것”이라며, “신약개발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적극 지원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