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호 교수

가족들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닮았을까? 이를 과학적으로 설명한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발표돼 이목을 끌고 있다.

아주대병원 치과교정과 김영호 교수팀은 ‘사람의 얼굴이 닮았다’라는 표현을 과학적으로 설명해 보고 싶다는 호기심으로, 지난 7년 동안 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가족들이 서로 어떻게 닮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또 자녀가 앞으로 어떻게 부모를 닮아갈지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팀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가족 중에 쌍둥이(Twins)를 둔 553명의 가족 중 일란성 쌍둥이 36쌍, 이란성 쌍둥이 13쌍 그리고 형제 26쌍(평균 연령 39.8세, 모두 동성) 총 150명을 대상으로 옆 얼굴 방사선 사진(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후, 얼굴의 경조직(뼈)과 연조직(살) 크기와 모양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수평·수직 길이, 각도와 비율을 측정했다.

이렇게 측정한 수치는 유전역학에 근거한 통계방법을 이용해 대상자 간의 일치도를 찾아내고, 그 일치도를 통해 유전적 연관성을 예측했다.

즉, 경조직의 경우 두개저, 상악골, 하악골, 치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정한 15개의 랜드마크(landmarks)와 8개의 기준선으로 분석했고, 연조직은 이마에서 턱끝까지 총 21개의 랜드마크(landmarks)와 총 30개의 길이, 각도와 비율로 수평, 수직적 비교 분석을 시행했다.

김 교수는 “부모로부터 물려 받은 유전적 연관성이 일란성 쌍둥이 간에는 100%, 이란성 쌍둥이 간은 50%, 형제 간은 50%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통해 얻은 수많은 측정치를 통해 얼굴의 각 부위가 얼마나 유전적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했다”고 말했다.

또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실제로 가족 간은 서로 닮고, 그 이유는 후천적 요인이 아닌 유전적 요인 △가족 간에 닮을 때는 얼굴의 경조직(뼈)과 연조직(살) 모두 비슷 △얼굴 중에서 뼈는 얼굴 골격의 크기 보다는 모양, 그리고 수직적 길이와 비율이 서로 많이 닮는 등 흥미로운 7가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영호 교수는 “가족들간에 막연히 ‘붕어빵이네’ ‘판박이네’가 아니라, 얼굴 골격의 모양, 수직적 길이와 비율, 코의 모양과 턱끝 연조직 두께, 교합평면, 얼굴 피부두께 등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아름다운 미소’를 가진 사람은 유전적 행운아라고 보아야 하고 후대 자녀들에게 닮은 미소를 물려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