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광협 세브란스병원 간센터 소장은 22일 열린 한국보건의료연구원 1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한국의 공익적 임상연구의 발전과정’을 발표했다.

공익적 임상연구사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선 장기적이고 충분한 예산확보,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연세의대 한광협 교수(간센터 소장)는 22일 열린 한국보건의료연구원 1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한국의 공익적 임상연구의 발전과정’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한 교수는 먼저 “공익적 임상연구를 위한 지원사업은 우리나라 보건의료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근거로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고 진단했다.

그동안 의료윤리의식 고취,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강화로 공익적 의료의료사업 진행이 과거보다 어려워진 현실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의료현장에 제기되는 여러 형태의 임상연구의 진행에서 유관기관, 학회, 의료진, 환자단체와의 유기적인 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의 건강을 지원하는 공익적 임상연구가 건강보험당국이나 의료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예를 들어 소개했다.

한 교수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당시 B형간염 치료환자에 ‘비리어드+바라쿠르드’ 등 두 약제를 써야 보험을 인정했다.

그러던 것을 한국 B형간염 치료환자 코호트 연구를 통해 내성 B형 간염에 두 약제를 함께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근거를 공익적 임상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환자약값과 건강보험재정 부담을 낮추는 기대 효과를 보였다. 학회도 이 결과를 받아들여 치료가이드라인에 테노포비르 단독요법을 기존 병합요법과 함께 다약제 내성 환자에 대한 권장요법으로 추가했다.

이 연구는 만성환자 423명에 대해 4년 이상 추적한 결과 비리어드나 복제약만으로 복합요법군과 같은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한 것.

한 교수는 마지막으로 “각 기준을 정하는데 에비던스만 고집하지 말고, 의료현장에서 충분히 실행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미래를 예측해 대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