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준 한의약정책관은 올해 첩약 급여화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첩약 급여화를 연내 시행하겠다는 보건복지부의 계획이 공개됐다. 상반기 중 관련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하고 추진하겠다는 것.

보건복지부 이창준 한의약정책관은 최근 전문기자협의회와 간담회를 갖고 “대한약사회, 대한한약사회, 대한한의사협회 등이 참여하는 첩약협의체를 통해 급여화를 구체화시켜나가겠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첩약 관련 직능단체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대한의사협회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이 내용에 대해서도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 복지부의 생각이다.

첩약 안전성 논란에 대해선 오히려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면 정부가 촘촘히 들여다볼 수 있어 더 긍정적이라는 것. 또 한의협과 논의과정에서 급여화 시 원산지, 원료명 등을 다 공개하기로 합의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정책관은 “한의계 내부적으로 임상진료지침 제정 등 규격화 노력을 해왔고, 일정 단계에 올라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급여화가 되면 국민입장에서는 비용도 줄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일원화와 관련해서도 입을 열었다.

먼저 의료계와 한의계 개원가에서 협진을 통해 파이를 키우는 노력이 있었으면 한다고 했다. 환자를 같이 진료하면서 어떻게 진료할지 고민하는 방식으로 협진하고 이에 대해 정부가 충분히 보상해주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정책관은 “지금과 같은 전원 형태의 협진에서 벗어나야 하고, 이렇게 되면 한의사 의료기기 사용 논란 등도 자연스럽게 없어질 것”이라며 “7월 3단계 의-한 협진 시범사업을 통해 문제점들을 더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의-한 협진 시범사업은 1단계 국공립병원 10곳서 시작했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2단계는 50개 병원에서 하고 있다.

이 정책관은 덧붙여 “의료일원화안은 교육을 먼저 통합하는 것은 이야기가 됐고 기존 배출자를 어떻게 할 것이냐가 관건이었는데 이에 대한 의-한 간 입장차가 큰 상황”이라고 전했다. 즉, 의료계는 한의과를 전문과 중 하나로 생각하는 것 같고, 한의계는 1:1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 부분은 계손 논의해 나가야 할 문제라는 것이다.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약사-한약사 통합에 대해서도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이 정책관은 “약사회 전 집행부 때 어느 정도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현재의 집행부에서는 아직 정리가 안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약사-한약사 통합에 대해 논의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