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 암사망 환자 7만 8863명 중 1만 7317명이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 사망자 5명중 1명(22%) 가량이 호스피스 서비스를 이용한 셈이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국립암센터(원장 이은숙) 중앙호스피스센터는 27일 이같은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 주요지표를 담은 ‘2017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을 발간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은 2012년부터 매년 호스피스․완화의료 사업 결과를 분석해 관련 통계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호스피스 제공기관은 호스피스전문기관(입원형) 83개(1364개 병상) 외에 가정형 호스피스기관 26개, 자문형 호스피스 기관 20개, 요양병원형 호스피스기관 12개가 시범사업에 참여했다.

호스피스 이용률은 2016년 말 기준 17.5%에서 4.5%p 상승(이용률을 확인할 수 있는 2008년 이후 최고 증가치)한 것으로, 호스피스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이용자도 계속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01개 호스피스전문기관 및 시범사업기관의 신규 이용자(1만 7333명) 중 입원형 호스피스만 이용한 환자는 1만 5123명, 가정형 호스피스만 이용한 환자 565명, 자문형 호스피스만 이용한 환자 535명이었다.

반면, 입원형과 가정형 호스피스를 함께 이용한 환자는 794명, 입원형과 자문형을 함께 이용한 환자가 225명, 가정형과 자문형을 함께 이용한 환자가 40명, 입원형과 가정형, 자문형을 모두 이용한 환자는 51명이었다.

이는 그간 입원형에 국한되었던 호스피스 서비스에 가정형(2016.3~), 자문형(2017.8~)이 추가되면서, 환자와 가족의 돌봄 장소에 대한 선택권이 넓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입원형만 이용한 경우보다는 가정형, 자문형 호스피스를 함께 이용하였을 때 이용기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가정형 호스피스 이용자 중 가정에서 사망비율은 25.4%로 같은 해 전체 암 사망자의 가정사망률(6.2%),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의 가정사망률(14.4%)에 비해 높았다.

자문형 호스피스 이용자는 일반 병동 입원자 등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특성상 약 50%가 이용 중인 급성기 병동에서 사망하고, 45.7%는 호스피스 병동에서 사망했다.

호스피스 이용 사망자의 사별가족 대상 만족도 조사결과 전반적인 만족도는 97%로 전년 93% 대비 높았다.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표준교육 및 온라인교육을 실시, 2008년 교육과정 개설 이후 2017년 말까지 총 6286명이 교육을 이수했다.

보건복지부 김기남 질병정책과장은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해 올해에도 유형별 호스피스 제공기관 등을 확대하고 국민들에게 필요한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교육·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앙호스피스센터 장윤정 센터장은 “이번 ‘2017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은 입원형 호스피스 외에 가정형, 자문형 호스피스 시범사업 결과를 포함해 분석한 첫 번째 자료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 제정 이후 진행돼 온 호스피스 유형 다양화의 효과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