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열린 ‘기초의학 의사국가시험 도입의 당위성과 쟁점’ 국회 토론회에서는 의사국시에서 기초지식이 배제되는 현실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

“기초만 튼튼하고 효율적이지 못한 건물이나, 기초가 부실한 건물 모두 문제가 있다. 활용도나 안전성에 있어서 항상 논란의 여지가 생길 수밖에 없다. 결국 어떻게 융합해야 하는가에 따라 디자인, 안전성, 효율성 등이 크게 달라진다.”

신희영 서울의대 교수는 25일 열린 ‘기초의학 의사국가시험 도입의 당위성과 쟁점’ 국회정책토론회에서 “임상에서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많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기초에서 찾아야 한다. 이것이 임상에서 보는 기초가 필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특히 “기초와 임상을 구분하는 것은 반대하지만 의사국시에서 기초지식이 배제되는 현실은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이어 “기초 의학지식을 바탕으로 임상교육이 이뤄져야 새로운 병태생리 연구, 치료방법 개발 등 창의적 지식 창출로 이어진다”며, “단순한 반복적인 일만을 수행하는 기술자 의사를 양산하면 인공지능에 의사의 역할을 빼앗기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신교수는 “기초의학평가가 아닌 의사국시 I, 의사국시 II 등으로 시행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여기엔 허영범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실행위원도 동의했다. 허 교수는 기초의학이 아니라 ‘의학의 기초’로 이름을 바꿀 것을 제안했다. 그래야 ‘기초의학 평가없는’ 의사국가시험이 아닌, ‘의학의 기초에 대한 평가가 없는’ 의사국가시험이라고 해야 문제의식이 생기지 않겠냐는 것이다.

곽순헌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장은 “복지부 입장이 명확히 정리되어 있지 않다”고 전제한 뒤 “기초의학 역량을 강화시켜 의과학 우수의사를 배출하는 것은 국가과제로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시험을 관장하는 국시원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선 도움이 되지만 의대학생 입장에서 응시 수수료 부담이 클 수 있다는 점은 걸림돌이 될 수 있고, 국가의 예산보조에는 지불능력 한계로 재정당국이 동의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우선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국가시험에서 기초의학 직접문항을 높이고, 간접문항을 줄이는 방향으로 간다면 리스크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 의평원 평가점수 142점 중 기초의학 평가점수가 4점인데 이 평가점수를 강화시키는 방법도 대안으로 검토할 만 하다.

여기에 국가시험 대신 기초의학종합평가를 졸업 필수로 하는 것은 복지부의 직접 관여 없이 가능하기에 의료계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곽 과장은 “현재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다면 수련이나 시험부담문제 등이 생긴다”면서, “적용을 고3 학생이 의사국시 보는 시점으로 한다면 논의가 쉬워 질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날 토론회 좌장을 맡은 서울의대 전용성 교수는 “미국이나 독일 등 의사면허시험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선진국은 오래 전부터 기초의학 역량을 평가했고, 의학교육도 의사의 의과학적 역량을 강조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라며, “우수한 의사를 배출하기 위해 의사국가시험에서 기초의학 역량을 평가해야 하고. 이를 통해 의료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고 우리나라 의학과 의료산업의 발전에 기여토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