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통이 있는 소아청소년 58.4%(292명)은 두통과 함께 메슥거림, 식욕부진, 눈부심 등의 편두통이 의심되는 증상을 경험하고 있지만, 정작 편두통으로 진단받은 경우는 4.2%(2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두통학회(회장 김병건)는 23일 두통을 경험한 소아청소년기 자녀를 둔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한 ‘소아청소년기 두통 현황 및 관리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자녀의 두통 경험 횟수는 ‘한 달에 1-7일’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7.8%였으며, 만성 두통을 의심해볼 수 있는 횟수인 ‘한 달에 8일 이상’도 3.6%로 조사됐다.

두통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여부에 대해서는 71.8%(359명)의 부모가 3개월 간 자녀가 두통으로 인해 1일 이상 결석이나 지각·조퇴를 하거나 외부 활동에 참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3개월간 두통으로 인한 평균 결석 일은 1.13일, 조퇴는 1.15일, 외부활동에 참여하지 못한 경우는 2.21일이었다.

조수진 대한두통학회 부회장(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신경과)은 “소아청소년기의 두통은 통증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결석 등으로 인한 학업 성취도 저하, 대인 관계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친다”며, “소아청소년기 두통에 대해 보호자와 사회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면 성인기에 난치성 두통으로 고통을 받거나, 우울이나 불안 같은 정신적 문제까지 경험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자녀가 두통을 처음으로 호소한 시기는 ‘학동기(37.8%)’, ‘학동전기(30.2%)’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스트레스는 성인과 마찬가지로 소아청소년에서도 중요한 유발요인이었다. 소아청소년 2명 중 1명은 ‘학업 또는 부모, 교우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54.6%)’로 인해 두통을 주로 호소했다.

진통제 복용법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다. 자녀가 두통을 호소하는 상황에서 대처 방법을 묻자(중복응답), ‘병·의원을 방문(47.4%, 237명)’하거나, ‘진통제를 복용하게 했다(40.6%, 203명)’는 답변의 빈도가 높았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응답은 단 1.4%에 그쳤다. 또한 병·의원을 방문한 시기도 ‘두통을 호소하고 나서 1개월 내(78.7%)’라고 답한 비율이 매우 높았다.

김병건 회장은 “두통이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처를 하지 않고 통증을 참으면 오히려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이는 결국 두통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두통이 주 2회 이상 발생할 경우에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진통제를 복용하기보다는 두통 전문의를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증상에 맞는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