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의 근원이자 사망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비만이 노인층에서는 사망률과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BMI 수치가 낮을수록 사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윤종률·조정진 교수 연구팀은 ‘한국 노인에서 BMI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연구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인의 경우 체질량지수(BMI)가 국내 비만 기준인 25kg/㎡ 이상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고 오리혀 BMI 수치가 낮을수록 사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코호트 자료에서 65세 이상 노인 17만 639명을 대상으로 5년간 추적관찰하여 BMI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BMI 외에도 혈당·혈압·콜레스테롤·체중 등의 신체상태와 음주·흡연·운동·소득수준 등의 변수도 고려했다.

▲ BMI와 심혈관계질환 및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 연관성

5년간의 추적기간 중 1만8886명의 노인이 암, 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으로 사망했다. 또한 BMI에 따른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비만학회가 정상 체중으로 판단하는 BMI 22.5kg/㎡ 이하일 때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BMI 17.5~19.9kg/㎡에서는 비만으로 평가되는 BMI 25~29.9kg/㎡보다 2배 이상 사망위험이 높았고, 저체중인 BMI 16~17.4kg/㎡에서는 사망위험이 3배 이상 높았다.

특히 BMI가 증가하면 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현저히 감소했다. 심혈관질환과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도 역시 BMI가 25~27.4kg/㎡가 될 때까지 꾸준히 감소했다.

조정진 교수는 “비교적 높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는 고령자의 전염병, 암,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번 연구에서도 BMI가 높은 노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였다”며 “BMI가 낮을수록 적은 체중과 근력 부족 등 노인의 허약증상을 더 악화시켜 사망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분류되는 노인들이 더 오래 생존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