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신규 간호사 10명 중 7명은 이직을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돼 간호 인력에 대한 법적 기준과 정부의 지원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7일 자유한국당 김순례 의원이 주최하고 대한간호협회가 주관한 ‘신규간호사 이직 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발제에 나선 이화여대 간호대학 신수진 교수는 ‘신규간호사 교육관리체계 개선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신 교수는 “신규간호사의 이직 의도에 대한 연구에서 70%가 이직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직의 원인으로 대학의 교육과 임상현장간의 격차로 인한 업무 스트레스, 근무 부서의 불만족, 대인관계의 어려움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간호교육과 현장간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프리셉터십이 활용됐으나 병원마다 다른 상황”이라며 “‘2017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개 병원 중 4%인 8개 병원만 교육전담간호사를 운영 중이었으며 보통 수간호사가 교육전담간호사를 겸임하는 형태”라며 프리셉터십이 오히려 간호사들의 업무를 과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간호사들의 업무 과중뿐만 아니라 교육의 기간이 짧아 병원에 적응하기까지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신 교수는 “신규간호사가 현장에 적응하기까지 8개월에서 12개월이 걸린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57.3일에 불과하다”며 “신규간호사들이 현장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과 교육의 질이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그는 신규간호사 교육관리체계 개선을 위해 ▲전담인력 및 전담부서에 대한 법적 기준 마련 ▲신규간호사 교육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 마련 ▲의료질평가지원금제도에 ‘간호교육지원’ 영역 및 지표 개설 ▲의료기관 인증제도에 신규간호사 교육 관련 항목 제정 ▲상급종합병원 지정 및 평가 기준의 교육기능 강화 등을 강조했다.

신 교수의 주장에 참가한 패널들도 동감했다.

박진식 대한병원협회 정책부위원장은 “환자의 생명을 책임져야 하는 병원에서 신규간호사의 부담은 더욱 클 것”이라며 “신규간호사의 초기 안정화를 위해 퇴직한 인력을 이용한 교육전담자 배치와 실습의 다양한 현장 적용 등 체계 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곽순헌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장은 “올해 간호사 처우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됐으며 내년 교육전담간호사 지원에 대한 77억 원의 예산이 편성됐다”며 “앞으로 예산 확보를 통해 교육전담간호사 인건비 지원뿐만 아니라 간호대학 실습 등 사립병원과 사립대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