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일치 조혈모세포이식술 성공 확률도 일치형 못지않아 ‘대안’으로 충분하다는 합의안이 마련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이영성·NECA)은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술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확인하고, 관련 이해관계자들 간의 숙의를 통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원탁회의를 8일 개최했다.

NECA는 이날 회의에선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반(半)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술에 대한 합의안이 처음으로 마련됐다고 10일 밝혔다.

건강한 사람들로부터 기증받은 조혈모세포는 난치성 백혈병 및 빈혈 치료를 위해 환자에게 이식된다. 그런데 면역형이 완전히 일치하는 기증자를 찾기가 어려운 현실을 감안해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술이 그 대안으로 제시됐다.

매년 약 500명의 신규 조혈모세포 이식대기자가 발생하고 2017년 누적 대기자는 4000여 명에 이르며, 이 중 실제 이식술이 시행된 경우는 564건(비혈연 국내/국외 기증자 포함)으로 총 대기자의 약 13%에 불과하다.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술이란 혈연관계(부모, 자식, 형제)의 기증자로부터 세포를 기증받아 이식하는 치료법으로, 면역형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도 치료가 가능하다. 국내외에서 기증자를 찾기 어려운 경우 대안으로 인식되나 생존율, 부작용 등 이식 성적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번 원탁회의에서는 ‘반일치 혈연이식, 해외기증자 이식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를 주제로, 전문의학회‧환자단체‧NECA HTA(의료기술평가)국민참여단 등이 모여 연구결과 공유 및 숙의과정을 거쳤다.

합의문에는 반일치 조혈모세포 이식술이 안전성‧유효성을 고려해 해외기증자 이식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함과 동시에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먼저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결과 및 임상적 경험에 따라, 합의문에서는 반일치 혈연이식과 해외기증자 이식 성적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기증자를 찾기 위한 이식대기시간을 고려할 때 반일치 혈연이식이 해외기증자 이식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해외와 비교해 관련 연구가 많이 부족한 국내 실정을 감안, 우리나라 환자 대상으로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최신 근거 생성이 필요하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이를 위해 국내 환자 코호트 구축, 질환별 이식 성적 비교, 경제성 평가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합의문은 대한소아혈액종양학회‧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한국백혈병환우회‧한국보건의료연구원‧한국혈액암협회‧한국환자단체연합회 등 6개 단체 및 기관이 참여했다.

이영성 원장은 “이번 원탁회의 합의문안이 조혈모세포 이식을 기다리는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을 높여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