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생제내성 극복을 위한 ‘항생제내성 예방주간 전문가포럼’ 기자간담회가 13일 열렸다.

우리나라 항생제 처방은 하루 1000명당 34.8명으로 OECD 평균인 21.1명 보다 훨씬 높다.

문제는 2002년 하루 1000명당 15.9명에서 2013년 24.2명으로 늘어나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항생제내성 예방주간 전문가포럼의 배현주 항생제 관리분과 위원장(한양의대)은 12일 포럼행사를 앞두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항생제 오남용은 항생제 내성을 초래하는데 국가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은 2020년까지 감기에 처방되는 항생제를 50%, 전체 항생제 사용을 2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이같은 현황을 밝혔다.

2006년부터 심평원이 공개하고 있는 급성상기도감염 병원별 항생제 처방률에 따르면 굽성상기도감염은 2006년 49.5%에서 206년 35.6%로 줄었으나 하기도감염은 각각 21.7%에서 35.8%로 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배 위원장은 “공개정책이 전체 호흡기질환의 항생제 처방을 줄이지는 못했고, 다만 공개되는 상병명만 의사들이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항생제 스튜어트십을 위한 전문인력과 정부의 전담부서 설치를 제안했다.

이어 현재 감염내과 전문의에 의해 운영되는 병원의 항생제 적정사용 유도 프로그램(항생제 스튜어트십 프로그램)이 적은 인력과 보직 겸직으로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하고, 항생제 스튜어트십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인력(감염병, 약제, 미생물, 의료정보 전문가)을 국가적으로 확보할 것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또 “항생제 사용량 감소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구체적인 실천이 필요하다”며, “복지부 산하에 ‘항생제 전담관리부서’를 설치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엄중식 내성균 관리분과 위원장(가천대 길병원)은 내성균 전파 차단에 있어 중요한 거점인 중소병원, 장기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지원을 강조했다.

그는 다제내성균 감시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감시에 필요한 배양검사와 유전자검사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충분한 격리실 운영을 위한 건강보험 급여가 현실화되어야 하고, 다제내성 보균 환자 정보를 의료기관이 공유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제내성균 보균 환자의 전원이나 이송과정에서 선별적인 격리와 지속적인 감염관리를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엄 위원장의 판단인 셈이다.

또한 병원의 다인실 정책은 적은 자원과 인력으로 효율적인 진료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됐으나 환자 인권과 함께 다제내성균이 환자 안전과 직결되는 위험인자가 된 오늘날에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김성민 대한항균요법학회 회장(인제대 해운대 백병원)은 “눈에 보이는 미세먼지나 플라스틱 문제가 최근 최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어 대책을 세우지만 항생제 문제는 눈에 보이지 않아 관심이 적은 듯하다”고 우려했다.

특히 “의료인과 일반인 대상 교육을 통해 항생제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도록 하는 한편 철저한 개인 위생을 통해 내성균 전파 차단을 독려해야 한다”며, “의료계뿐만 아니라 농·축·수산, 식품, 환경 분야를 포괄해 항생제를 줄이고 내성균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협력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매년 11월 셋째주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세계 항생제 내성 인식주간(World Antibiotic Awareness Week)’이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WHO의 국가별 캠페인 권고에 따라 13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CCMM 빌딩(컨벤션홀, 12층)에서 제2회 ‘항생제 내성 예방주간 기념식’을 개최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