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가 발간한 ‘2017년 세계보건통계’에 따르면 북한의 영유아 사망률은 1000명당 24명으로 우리나라의 3명보다 21명이나 더 높다.

반면 북한의 5세 미만 영유아 사망률은 1998년 1000명당 92.3명, 2000년 76.8명, 2004년 44.5명, 2009년 41.4명, 2012년 36.8명, 2017년 24명으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그러나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2017년 2월 발행한 ‘기억해야 할 잊혀진 위기지역 12곳’에서 전체 북한 인구의 25%가 필수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해 영유아를 포함한 170만 명의 어린이가 치명적인 질병에 걸릴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밝혔다.

조성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래전략연구실 통일사회보장연구센터장은 30일 발간한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351호에서 북한은 저제중아 출생 비율이 높고, 열악한 사회 인프라와 의료 서비스 공급의 제한으로 영유아 및 아동의 질병 위험, 5세 미만 영유아 사망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북한의 모유수유율은 높게 나타나지만 생후 6-23개월의 최소 필요식 섭취 비율은 26.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나라를 비롯 국제사회의 협력과 노력으로 북한의 신생아 예방접종률이 높아져 영유아 사망률을 감소시킨 바 있다. 2000년 북한의 신생아 결핵 예방접종률은 78%로 추정됐으나 2005년 94%로, 2010년 기점으로 97-98%로 증가해 우리나라의 99.8%에 근접하고 있으며,이에 따라 영유아 사망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

조성은 센터장은 “향후 10년간 현재의 저출산과 식량난, 그리고 열악한 의료보건 상태가 유지된다면 북한 인구구조가 고령화될 뿐 아니라 통일 이후에 노동 생산성을 개선하는 데도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는 지적(국회예산정책처, 2015)을 고려할 때 한반도 번영을 위해서는 경제적 투자뿐만 아니라 사회적 투자도 매우 중요하다”면서 “미래 세대에 적극 투자하는 것은 21세기 사회정책의 핵심 요소며, 그 범위를 북으로 확장해야 할 때에 이르렀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