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정기현, 우측)과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이사장 권준수, 좌측)는 14일 학술적·교육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남북·북미 정상회담 등 한반도 평화분위기 속에서 의료계가 남북 보건의료 문제에 대해 의미있는 행보를 시작했다.

그동안 결핵이나 의약품 제공 등의 교류가 있었고, 통일보건의료학회 등의 활동이 있었지만 공공의료기관과 의학계가 나서 남북 보건의료분야 문제점 점검과 통합에 나서기로 방침을 정해 주목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원장 정기현)과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이사장 권준수)는 14일 학술적·교육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은 △북한이탈주민 정신보건 지원 △대북 신경정신계 질환 관련 지원 △신경정신계 질환에 대한 남북 공동 연구 추진 △의료인 대상 남·북한 건강공동체를 위한 정신보건 교육 △민·관·학 네트워크 구축 △통일부 및 하나센터 대상 정신보건 교육 △기타 양 기관이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등이다.

북한 신경정신계 질환 치료 인프라를 구축하고,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으기로 한 것.

신체적으로 나타난 질병에 앞서 정신질환을 대상으로 활동 목표로 삼은 것은 공중보건위기대응 시스템을 만든다는 것은 서로 다른 차이에 대한 문제 해결이 우선되야 하기 때문. 남북한의 오랜 기간 단절로 인한 문화차이 등으로 인해 정신건강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권준수 이사장은 “단순한 질병보다 남북 간의 상황 차이를 다루게 되고, 그 부분에서 정신 건강 문제가 대두될 것”으로 예상하고 “그렇게 되면 향후 할 일이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권 이사장에 따르면 북한은 이론적으로 정신질환자는 없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질병명이나 정의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신과환자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 및 이탈북한주민의 정신과적 문제를 삶의 질 차원서 어떻게 도와줄 것인가를 찾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정신건강의학과장은 “북한 주민은 정신과 환자가 치료를 받는 것이 아니라 격리되는 상황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정신 의약품 공급뿐만이 아니라 지속적 치료와 관리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정기현 원장은 “보건의료분야의 시스템과 시스템이 만나는 것을 원칙으로 그 속에서 정책이나 지침을 개발하거나 건강관리 등을 하도록 해야 한다”며,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고, 북한의 비교적 미흡한 공공 의료 체계 기본 골격의 원칙과 기준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남과 북의 시스템이 만나고 당국이 만나고 하는 것이 되지 않으면 분절되고 부작용도 일어날 것이기에 근간을 세우는 일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특히 영양실조에 비타민을 제공하는 것같은 특정 질병 대상으로 하기 보다는 공중보건위기대응 시스템을 만든다는 것으로 누가 어떻게 시작하는 것인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남북 보건의료의 통합을 준비하고자 최근 공공보건의료연구소 산하에 ‘남북보건의료연구부’를 신설했다.

한편 국립중양의료원은 건강한 남북 보건의료 문화를 위한 청사진을 내용으로 ‘한반도 건강 공동체를 위한 길잡이’를 발행하고, 이날 출간기념회를 가졌다.

이 책은 북한이탈주민을 직접 진료했던 의료진들과 다양한 직역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7000만 한반도 주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국립중앙의료원 △북한이탈주민의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에 대한 통합적 접근 △북한 이탈주민에게 흔한 질환 감염병, 정신건강, 불면, 두통, 여성건강 △진료 현장에서 본 북한이탈 어린이 이야기 등의 사례가 담겨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