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살인·죽음에 대한 말을 많이 했다. 불면이나 과다수면 등 수면상태가 변했다. 죄책감을 갖거나 우울·불안·무기력감, 과민함 등 감정상태 변화가 심하다.”

자살사망자 대부분(92.0%)은 사망 전 언어‧행동‧정서상태의 변화를 통해 자살징후를 드러내는 경고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중앙심리부검센터(센터장 전홍진, 정신과 전문의)를 통해 실시한 심리부검 분석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심리부검이란 자살사망자의 유가족 진술과 기록을 통해 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 및 변화를 확인해 자살의 구체적인 원인을 검증하는 체계적인 조사 방법이다.

이번에 발표된 결과는 2015년부터 2017년도까지 3년 간 중앙심리부검센터로 신청, 의뢰된 자살사망자 289명 사례를 분석한 것.

이에 따르면 자살 유가족 21.4%만이 고인의 사망 전에 경고신호를 인지했다. 게다가 자살 경고신호를 인지한 유가족들도 어떻게 대응할지 몰라 자살의사를 확인하거나 전문가에게 연계하는 등 적절하게 대처한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 자살사망자 상당수는 약물‧알코올 등 자극을 추구하거나(36.0%), 자해(12.8%) 또는 자살시도(35.6%)를 한 적이 있었다.

삶의 과정에서 발생한 경제문제, 가족‧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살에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자살사망자(복수응답)의 스트레스 요인은 △정신건강 문제(87.5%) △가족관계(64.0%) △경제적 문제(60.9%) △직업관련 문제(53.6%) 순이었다.

정신건강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수면문제(62.3%), 체중증가 및 감소(42.6%), 폭식 또는 식욕감소 문제(39.8%)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았다. 경제적 문제는 △부채(71.0%) △수입감소(32.4%)가 주요 유형이었다.

부채발생 사유는 생활비 충당(24.8%), 주택구입(21.6%), 사업자금 마련(20.8%) 순이었다.

자살 경고신호와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스트레스 요인, 자살경고 신호 등은 연령대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청년기(19세~34세)에는 △연애관계‧학업 스트레스 △성인기 이전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비율(51.3%)이 타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이는 아동기 부정적 사건이 아동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자살에 기여한다는 기존 연구(Martin H, Teicher et al., 2014, Childhood maltreatment 등)와 일치한다.

중년기(35세~49세)에는 △직업관련(59.4%) 및 경제적 문제 스트레스(69.8%)가 높고 특히 부채(주로 주택관련 부채)로 인한 스트레스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장년기(50세~64세)에는 △직장 스트레스(59.7%) 특히 실업 상태로 인한 문제 및 경제적 문제 스트레스(64.9%)가 높고 △정신건강 치료‧상담 받은 비율(59.7%)과 △과거 자살시도 경험(48.1%) 비율이 높은 것이 주요 특성이다.

노년기(65세 이상)는 △신체건강과 관련한 스트레스 비중이 높고(80.6%), △혼자 지내거나 친구가 1-3명밖에 없는 등 사회적 관계가 취약한 경우가 타 연령대에 비해 많았다.

자살유가족(352명)은 자살사건 발생 후 일상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심리적‧정서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유가족의 88.4%가 사별한 후 일상생활의 변화가 있었고 특히 정서상(우울, 불안, 초조, 공포, 불면증 등)의 변화, 대인관계(친인척, 이웃, 친구, 직장동료 등과의 관계 회피 및 단절의 변화)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관련해 유가족 대부분(80.1%)이 우울감을 느꼈고 이 중 95명(27.0%)은 심각한 우울증에 해당했다. 일부 유가족은 수면문제(36.4%) 및 음주문제(33.8%)를 경험했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가족의 63.6%는 고인이 자살로 사망했다는 것을 사실대로 알리지 못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심리부검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1월 수립해 추진 중인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1.23.)’을 더욱 촘촘히 살피고 충실히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중앙심리부검센터 전홍진 센터장은 “가족·친구 등 주변 사람들이 이전과 다른 언어적, 정서적, 행동적 변화를 보인다면 지역의 정신건강복지센터(1577-0199) 및 정신의료기관 등 자살예방 전문기관에게 연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