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신규 뇌졸중 환자는 4만 9726명이었으며, 10년 동안 총 진료비 4618억 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호승희 과장은 뇌병변장애의 주요 원인 질환중 하나인 뇌졸중 신규환자를 심층 분석한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뇌졸중 신규환자를 대상으로 10년간 의료이용 추이, 누적사망률, 장애등록률, 뇌병변 장애인의 장애등급 변화 및 장애등록 전후 소득계층의 변화를 분석한 것.

이에 따르면 뇌졸중 발생 후 2년차에는 91.72% 감소한 4115명, 10년차에는 1507명(3.03%)만이 입원의료이용을 하고 있었다.

10년간 장애등록자는 1만 4088명(28.33%), 뇌졸중 발생 후 장애등록까지의 평균 기간은 22.48개월(중앙값 11.13개월)이었다.

장애등록자는 뇌병변이 1만 1155명(79.18%)으로 가장 많았고, 지체 1176명(8.35%)이 그 뒤를 이었다.

총 진료비는 뇌졸중 발생 이후 장애인으로 등록한 사람에서 2758억 원으로 뇌졸중 환자에서 10년간 발생한 총 진료비 4618억 원의 59.72%를 차지했다.

특히, 장애 등록자의 장애 등록 이전 발생 진료비는 1215억 원(44.05%)으로 장애 등록 이후 1543억 원(55.95%) 대비 11.90%p의 차이를 보였다. 평균 장애등록기간이 22.48개월(약 2년)임을 감안할 경우 장애 등록 이전 시점에도 지출되는 진료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뇌졸중 발생 이후 초기집중 재활의료서비스를 강화시켜야 함은 물론 재난적 의료비 지출이 이루어짐에 따른 재정적 지원책 등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뇌졸중 신규환자의 44.73%에 해당하는 2만 2242명이 뇌졸중 발생 이후 10년간 사망했다.

뇌병변 장애로 등록한 이후 장애등급 재판정시 중증도가 조정되지 않은 경우는 9798명(93.18%), 중증도가 조정된 경우는 717명(6.82%)이었다.

호승희 과장은 “뇌졸중의 경우 질환의 특성상 요양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합병증이나 2차 질환 등을 관리해야 함에 따라 직·간접 의료비 지출은 가계의 부담을 넘어 가계소득 수준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는 재난적 의료비로까지 자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뇌졸중 환자들이 적기에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재활의료 전달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뇌졸중 환자들의 장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사전적 예방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현실적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시행중인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과 관련, 국립재활원 이범석 원장은 “장애발생 이전 초기 집중재활 서비스를 통한 장애발생의 최소화와 장애발생 이후 양질의 회복기 집중재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재원기간을 단축시키고, 건강하게 사회복귀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반적인 재활의료 체계 정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인 셈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