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와 소외감, 불안, 우울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불면증’ 환자가 매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 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불면증’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2년 40만3,417명에서 2014년 46만4,543명, 2016년 54만1,958명 등으로 4년간 13만8,541명이 늘어나, 34.3%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16년 기준 ‘불면증’ 환자를 성별로 보면 남성이 20만9,530명으로 38.7%, 여성이 33만2,428명으로 61.3%를 각각 차지하여 여성이 남성에 비해 1.6배 많았다.

남성은 2012년 15만2,603명에서 2016년 20만9,530명으로 37.3%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2년 25만814명에서 2016년 33만2,428명으로 32.5% 증가했다.

또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11만4,777명으로 가장 많은 21.2%를 차지했고, 60대는 10만7,585명으로 19.9%를 차지하여 50-60대 연령층에서 전체의 41.0%를 점유했다. 그 다음으로 70대 9만8,507명으로 18.2%, 40대 7만8,734명으로 14.5%, 30대 5만6,428명으로 10.4%, 80세 이상 5만4,165명으로 10.0%, 20대 2만8,906명으로 5.3%, 9세 이하 192명 순으로 집계됐다.

남성은 70대가 21.1%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여성은 50대가 22.6%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건강보험 적용인구 대비 ‘불면증’ 진료인원 수를 분석한 결과 100명 중 1명 꼴 인 인구 10만명 당 1,068명이 진료를 받았다. 남자는 10만 명 당 822명이 ‘불면증’으로 진료를 받았고 여자는 1,316명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간 계절별 ‘불면증’ 질환의 진료인원 현황을 살펴본 결과, 추워질수록 진료인원이 증가하고 더워질수록 진료인원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6년 기준으로 살펴보면, 겨울철(전년도 12월부터 2월) 진료인원은 25만 3,070명으로 그해년도 여름철(6월부터 8월) 진료인원 22만 4,800명 보다 12.6%(2만 8,270명) 더 많았다.

‘불면증’ 건강보험진료비는 2012년 451억3,700만원에서 2016년 724억1,900만원으로 4년간 60.4%가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석 교수는 “불면증 예방을 위해서는 잠자리에서 TV보는 것과 같은 수면 외의 행동을 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며 커피, 술과 같이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 음식물을 주의하는 생활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