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ECD 연도별 여성 고용률과 합계 출산율 관계

지난해 우리나라 출생아는 35만7700명,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역대 최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01년 이래 17년째 초저출산 상황(합계출산율 1.3 미만)으로 초저출산을 경험한 OECD의 12개 국가 중 유일한 사례여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통계청은 28일 2017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는 7.0명, 전년보다 0.9명(-11.4%) 줄었고, 30대 초반 출산율은 해당 여자인구 1000명당 110.1명에서 97.7명으로 가장 크게 감소했다.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세종 1.67명, 전남 1.33명, 제주 1.31명으로 높고, 서울 0.84명과 부산 0.98명은 1.00명 이하다.

사망자 수 28만 5600명으로 전년보다 4800명(1.7%) 늘었고, 시도별 연령표준화사망률(표준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은 충북 3.6명, 전남 3.5명이 높고, 서울 2.8명, 경기 3.1명으로 낮았다.

이같은 위험수위가 지속되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김상희 부위원장,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문성현 위원장,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 여성가족부 정현백 장관은 28일 국회 의원회관 회의실에서 만나, 2017년 출산 통계 현황을 공유하고, 일‧가정 양립 등 저출산 극복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보건복지부는 먼저 저출산 극복을 위해 일‧가정 양립 방안 최우선 추진키로 했다.

이는 주출산연령대 여성의 감소 등 인구구조의 변화, 혼인 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한 비혼 증가와 출산 기피 심화, 결혼에 영향을 미치는 고용‧주거 등 사회‧경제적 여건 악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

특히 대다수 OECD 국가들이 여성 고용률과 합계 출산율이 비례하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여성 고용률이 늘어도 출산율이 높아지지 않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저출산 극복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일하며 아이키우기 행복한 대한민국’을 설정하고,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공론화 및 협의를 거쳐 구체적 액션플랜을 마련키로 했다. 플랜은 4월중 발표할 계획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