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승표, 이희선 교수

우리나라 의학자가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예후를 MRI로 예측하는 지표를 개발, 주목받고 있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승표·이희선(강남센터) 교수팀은 2011-2015년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127명의 심장 MRI 정보에 ‘T1맵핑’을 적용한 후 ‘심근 T1값’을 측정한 후 평균 2년 6개월 동안 추적관찰 했다.

MRI는 강한 자기장 형성시 인체에서 되돌아오는 자기파를 측정해 영상을 얻는 장비인데 자기파가 돌아오는 시간은 섬유화, 염증, 경색 등으로 주변조직의 상태가 좋지 못하면 늘어나고, 반대일 경우 줄어든다.

이때의 시간을 ‘T1값’이라고 하고, T1값을 색상으로 표현된 영상으로 나타낸 것이 ‘T1맵핑’이다.

이 결과 심근 T1값이 높을수록 환자의 예후가 좋지 못했다. 값이 가장 높은 군은(심근 섬유화가 가장 심함) 42.9%가 사망과 심부전 악화로 응급입원을 경험했다. 반면 값이 가장 낮은 군은 이 비율이 2.4%에 그쳤다.

또 연령, 증상 여부, 심근손상 정도 등 기존에 알려진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위험인자와 심근 T1값을 함께 분석하면, 수술 후 결과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127명중 대동맥판막 치환수술을 받은 환자 87명을 추가로 분석한 결과, 수술 전 심근 T1값이 가장 높은 군에선 수술 이후 사망 및 심부전 악화로 인한 응급입원이 4건 발생한 반면, 값이 가장 낮거나 중간인 군에서는 단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승표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질환의 상태와 진행 속도, 환자의 증상과 동반 질환 등을 세심히 관리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는 예후 예측을 가능케 해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희선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대부분 퇴행성이 원인이라 예방하기 쉽지 않다”면서, “가슴통증, 호흡곤란, 두근거림,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학회 공식 자매잡지인 ‘JACC Cardiovasc Imaging’ 최근호에 발표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